`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

 1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1
 2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2
 3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3
 4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4
 5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5
 6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식민지 지배`에 대한 평가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용어 의미

3. 내재적 발전론

4. 식민지 근대화론

5. 한국과 일본 학계의 입장

6. 두 이론의 문제점

7. 결론


본문내용
2.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용어 의미
1) 내재적 발전론 : 일제시대에 조선사회 정체론을 근거로 하여 일제의 식민지지배를 정당화하려 했던 식민사관을 극복하기 위해서 생겨난 것이었다. 해방 후 역사 연구자들은 조선후기 사회가 내적으로 다양한 발전 전망을 가진 사회였음을 논증하였고, 그것은 이제 내재적 발전론이란 이름으로 학계에 정착되었다.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근대사 인식을 간단히 요약하면, 조선 후기에 성장하였던 자본주의의 맹아는 타율적인 개항과 일제의 침략에 의해 왜곡되었으며, 한국사회의 보다 진보적인 발전은 억압되었고, 일제시대에도 이러한 코스의 발전이 지속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연구는 식민사관을 극복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세계사에 일반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식민사관에 반하여 출발한 이러한 ‘내재적 발전론’은 지극히 민족주의 적인 성향을 나타낼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2) 식민지 근대화론 : 한국의 역사학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넓게는 최근의 동남아 신흥공업국가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세계사적으로 과거 피식민국가들이 식민지하에서 근대화되었다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좁게는 일제 강점기에 우리나라가 식민지하에서 근대화되어갔다는 것을 이른다. 이 용어는 '식민지 수탈론'에 대칭되는 말로서, 종래 일제 하에서 일방적으로 수탈당하기만 했다는 역사인식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나오게 된 '식민지 자본주의화론' '식민지 개발론' '식민지 공업화론' '식민지 산업화론' '식민지 미화론' 등을 지칭해서 역사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다. 즉 식민지 시대를 겪으면서 근대화 되어진 부분이 상당부분 존재하고 이를 통하여 근대를 넘어 현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 ’식민지 근대화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II (일제강점기) / 아연출판부(2007) / 김용덕 미야지마 히로시 공편
인터넷 검색 포털 사이트 네이버 오픈백과 /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검토 / 이만열(숙명여대 교수)
식민지 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 재검토 / 조석곤 논문
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 경제사를 중심으로 / 안병직 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