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

 1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1
 2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2
 3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3
 4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4
 5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5
 6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6
 7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7
 8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8
 9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9
 10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10
 11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11
 12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12
 13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 촌드림클래스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용정리

1) 1차 발표

2) 2차 발표

3) 3차 발표

2. 우리 조의 고민

1) 1차 발표

① 기관 선정 과정

② 사전 조사에서의 어려움

③ 1차 방문 조사 후의 염려 및 느낀점

-마음으로 전해지는 따뜻함 그리고 부끄러움

2) 2차 발표

ⓛ 해당 기관 미술 치료 선생님과의 인터뷰

② 2차 발표에 대한 반성 및 새로 제기된 의문

-부족했던 준비

-병원 학교의 학력 인정에 대한 의문

3) 3차 발표

4) 내용 전반에 대한 고찰

① 기관 조사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성찰

② 해당 기관의 문제점

- 기관의 프로그램이 정규교육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

- 기관 상담교사의 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의문

③ 기타

- 중국과의 비교 조사

Ⅲ. 결론

본문내용

2) 2차 발표

2차 발표에서는 남촌드림클래스의 미술치료 선생님과의 인터뷰내용을 발표하였다. 우리 새싹조는 미술선생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았다. 미술치료의 장점은 "해냈다"라고 하는 만족감을 주고 동기부여를 함으로써 자신감,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손 근육을 발달시켜 치료효과를 주며, 미술이라는 '비언어적' 매체를 통해 호스피스 환자에게 자신의 마음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 미술치료에서는 기본적으로 심리적 치유를 주안점으로 하고 있으나, 그 대상이 환우들이기 때문에 재활적인 목적까지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환자 각각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매체,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병원학교에서는 병원 시스템의 일부를 무료로 제공받고 있으며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고 있었다. 미술치료에서는 프로이드와 융의 '무의식'을 기본 토대로 하였으며 게슈탈트 이론 또한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2차 발표에서는 타 병원학교의 현황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병원 학교의 대상자나 목적 등은 남촌드림클래스와 비슷하였다. 운영방침은 개별화 교육계획을 수립, 또래 학생 및 교사 방문 활성화, 학업중심 교육과정과 심리 정서적 적응 지원, 효율적인 학사관리를 통한 출석 인정, 통원치료 학생의 상담 지원 등이 있었다. 교육과정 운영에서 학습활동은 교과 활동과 재량활동으로 나뉘어서 진행하고 있었으며 종이접기, 마술, 영화상영 등 특별활동 프로그램과 어린이날 행사, 체험 학습, 사생 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었다.
그 외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본 결과, 부산 일선 학교의 심리치료센터, 천안 여자중학교의 , 안산교육청의 상담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치료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들이 실제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3) 3차 발표

3차 발표에서는 남촌 드림클래스 프로그램에 대한 보호자의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물리적 환경, 프로그램, 인적 환경 등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대부분의 보호자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병원학교에서는 주로 심리 치료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그 만족도도 또한 높은 편이었다.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발달이나 지능 혹은 창의성과 같은 학습자 내부의 요인들을 탐구하는 심리학적 관심은 아주 중요하다. 그렇다면 심리치료라는 것이 학교 현장에서는 어떻게 적용 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 새싹조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심리적인 부분을 다룰 수 있는 방법은 '상담'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실제 학교에서 소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