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

 1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1
 2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2
 3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3
 4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4
 5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5
 6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6
 7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7
 8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8
 9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역사란 무엇인가
1) 시대에 따라 변해가는 역사의 의미
2) 역사 속에서 우리 모습 찾기

3. 우리의 한국사 소양 정도 알아보기
1) 퀴즈를 통한 국사 실력 파악 (연구 방법)
2) 우리의 한국사 소양 위험수위 (연구 결과 및 확장)

4. 한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 전환 필요

5. 결론

6. 참고문헌

7. 부록
본문내용
(2) 우리의 한국사 소양 위험수위 - 연구 결과 분석 및 확장

문과 중에서 국사과목을 선택한 자(A그룹), 그리고 국사를 선택하지 않은 문과와 7차 교육과정을 거친 이과 그룹을 한 데 묶어서(B그룹) 비교하기로 했다. 이과 중에서도 6차 교육과정을 받아서 국사를 필수로 해야 했던 사람과 특목고를 다니면서 3년간 국사를 필수로 배웠던 사람은 A그룹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표본은 각각 A그룹 43, B그룹 57명으로 나뉘어졌다.
A, B그룹은 모두 중학교 때는 국사교과과정을 이수 했다. 고등학교에서는 A그룹은 3년간 국사 교과를 이수 한 반면, B그룹은 1학년 때 1년 동안만 주당 2시간 씩 국사교육을 받은 자들이다. 두 시험별 그룹의 점수 분포와 평균은 다음과 같다.

① 고등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 [표 1]
점수
학생 수
100
24
80
13
60
6
40
0
20
0
0
0
합계
43
평균
88.37
점수
학생 수
100
16
80
23
60
15
40
3
20
0
0
0
합계
57
평균
78.25




②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표 2]
점수
학생 수
100
22
80
17
60
3
40
1
20
0
0
0
합계
43
평균
87.90
점수
학생 수
100
3
80
18
60
20
40
11
20
5
0
0
합계
57
평균
61.05



우선 [표 1]에서 고등학교 입학자격 학력시험의 결과를 보면, A, B간의 평균의 차이가 약 10점이나 나기는 하지만 두 그룹 다 합격 인정 점수인 60점을 훨씬 넘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그룹 모두 중학교 국사 교육 과정을 이수했기 때문일 것이다. 7차 교육 과정에서중학교 국사 시간은 2학년 때 주당 1시간, 3학년 때 주당 2시간으로 배정되어 있다.
또한 중학교 때 똑같이 국사를 배웠다 하더라도, 고등학교 때도 꾸준히 더 깊게 국사를 접한 A그룹의 평균이 훨씬 높은 것을 통해 국사에 대한 소양을 가꾸기 위해서는 꾸준히 국사와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5. 3.1 운동의 결과로 나타난 사 실은?
① 민족 자결주의
② 2.8 독립 선언
③ 고종 황제의 서거
④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문제의 오답률을 살펴보자면, A, B그룹을 통틀어서 가 장 오답률이 높았던 문제는 5번이었는데 총 50명 (50%)가 이 문제에 오답을 체크했으며 이는 오답률 2 위였던 3번(15명,15%) 과 매우 큰 차이가 난다. 5번 문제는 3.1운동의 결과를 묻는 문제로, 이는 많은 학 생들이 근현대사를 잘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나타낸 다. 이를 통해서 중학교에서도 국사를 필수로 배우기는 하지만 근현대사 부분에 있어서는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근현대사 부분은 3학년 교과서 끝 부분에 있어서 많은 학교에서 내신에 반영되는 시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상당수의 아이들이 근현대사를 수박겉핥기식으로 배우기 때문일 것이다.
반면 [표 2]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의 경우에는, 3년간 꾸준히 국사를 공부한 A그룹의 경우 난이도가 낮았던 고입 검정고시 문제와 평균에 거의 차이가 없다. 100점의 수가 줄고 40점대인 표본도 나왔지만 전체적으로 100점과 80점에 표본이 몰려 있다. 반면 B그룹의 경우에는 표 ①의 결과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100점의 수는 급격히 줄고, 40점과 20점의 수가 많아졌다. 간신히 평균이 60을 넘기긴 했지만, 57명중 16명이 60점에 미치지 못하고 20명은 정확히 60점을 받음으로써 결코 여유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검정고시 시험은 중, 고등학교를 다니지 못한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학력을 인정해 주기 위해 가장 쉽고 기본적인 문제를 출제한다는 점에서 중, 고등학교를 다 다니고서도 평균 60의 정도에밖에 미치지 못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과목으로 국사 선택의 기회를 가졌던 문과집단 (50명 중 6차 교육과정 거친 6명 제외, 국사 선택자 30명, 비선택자 14) 에게 물었던 '왜 국사를 선택, 또는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총 35명이 답해주었다. 국사 선택자의 경우, 스스로 국사를 좋아하고 알아야 하는 필요성을 느껴서 선택한 자가 12명이었지만 서울대에 가고자 하거나 학교가 재량으로 필수로 지정해서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경우도 10명이나
참고문헌
- 김한종(2001), 『역사왜곡과 우리의 역사교육』, 서울: 책세상.
- 김호연(2001), 『역사란 무엇인가』, 울산: UUP.
- E. H. Carr(1961), 『역사란 무엇인가』, 서울: 범우사.
- 고입, 고졸 검정고시 국사 기출문제(2007),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 , CBS, 2007년 5월 29일 방영.
- , 《네이버뉴스》, 2004.8.27,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2&article_id=0000012905§ion_id=102&menu_id=102
- , 《전자세계일보》, 2006.12.25,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61225150100007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