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

 1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
 2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2
 3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3
 4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4
 5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5
 6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6
 7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7
 8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8
 9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9
 10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0
 11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1
 12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2
 13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3
 14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4
 15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5
 16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6
 17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7
 18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8
 19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19
 20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사]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와 세계화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화로서의 음식습관


Ⅱ. 음식과 사회 : 사회적 음식과 음식적 사회


Ⅲ. 한국 음식문화 발전사에 관한 이해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5. 해방이후~50년대
6. 1960년대
7. 1970~1980년대
8. 1990~현재까지


Ⅳ. 한국음식문화의 세계화


Ⅴ. 결론

본문내용
Ⅰ. 문화로서의 음식습관

역사를 통하여 보면 음식은 인간과 인간사회 전반에 대해 특별한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잘 먹지 못한 사람은 일찍 죽었다. 따라서 인간들은 음식이란 생존을 위해서 누구에게나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음식은 삶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때문에, 곧 인간에게 있어 사회적, 생리적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모든 사람들은 일생 동안 음식을 접하면서 살아가므로 우리 모두는 음식에 친밀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아마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음식을 둘러싼 제반 문제들에 대해서 평가하고 토론할 자격이 있는 것으로 느끼게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아마도 음식에 대한 주제보다 더 감정적이고 더 강한 의견을 제시하는 주제는 없는 것 같다.
태초부터 지금까지 모든 사회의 인간들은 음식에 대해 거의 같은 깊은 관심과 경외를 나누어 왔다. 역사적으로 인간들은 어떤 형태의 음식에 대하여 비슷하거나 예상할 수 있는 식욕을 소유하여 왔다. 이러한 식욕은 크게 생리학적인 것과 유전학적인 것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서로 다른 집단과 개인이 이러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주어진 환경으로부터 선택한 특정 음식은, 집단에 따라 심지어 집단 내의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서로 다른 집단은 하나의 주어진 음식에 대해서 완전히 다른 태도를 지니기도 한다. 예를 들어 메뚜기는 중동지역에서는 아주 귀하고 맛있는 음식으로 여기지만,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그런 곤충을 먹는다는 것을 생각만 해도 움츠려든다. 미국인들은 신선하고 병아리로 자랄 수 없는 즉, 생식력이 없는 계란만을 먹는다. 그러나 일부 중국인에게는 병아리 태아상태를 포함하고 있는 계란이 맛있는 음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인간 집단들은 어떤 음식에 대하여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태도를 가져왔다. 사람들은 시간을 두고 터득한 것으로 독이 없고 건강과 행동에 최적의 것으로 입증된 익숙한 음식을 인정하여 왔다. 따라서 사람들의 일련의 태도는 잠재적으로 집단의 환경 속에서 유용한 음식과 관련하여 발전했다. 한 집단, 특히 젊은이들 가운데 한 사람이 어떤 음식을 선택했을 때는 그 집단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또 다른 음식을 선택했을 때는 인정받지 못한다. 이렇게 다양하고 미묘한 선택의 결과로 천천히 집단의 음식습관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누구든지 받아들이는 표준적인 음식체계는 그 집단의 음식습관으로 자리잡게 된다.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이상적인 음식을 선택하도록 도와줌으로서 만들어진 공유된 음식습관은 궁극적으로 집단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표현하고 또 그 집단의 경계선을 유지시켜 주는 메커니즘이 된다. 따라서 문화의 대부분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음식습관은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는 먹는 행동의 집합체로서 발전된다.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고 인정된 행동은 개인이나 집단이나 할 것 없이 생존을 위한 최상의 선택을 위한 하나의 청사진이 된다.
음식습관은 생리적이고 환경적이고 문화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런 것중 문화적인 요인은 많은 면에
참고문헌
이규태, 『한국인의 밥상문화』, 서울, 신원, 2000

주영하, 『음식전쟁 문화전쟁』, 사계절, 2000

엘레인 멕킨토시, 『미국의 음식문화』, 역민사, 1999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78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역사신문 6』, 사계절, 1999

조성오, 『우리 역사 이야기』, 돌베개, 1993

한국역사연구회,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1998

한국역사연구회, 『우리는 지난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역사 비평사,1998

김삼웅, 『일본은 조선을 얼마나 망쳤을까?』, 사람과 사람, 1998


참고 싸이트


http://members.tripod.lycos.co.kr/~kriaa/ 강미영 퓨전음식

http://www.osanfood.com/ 음식문화 길라잡이

http://www.hansbibimbap.com/main.html 한스 비빔밥

http://www.daom21.com/index.asp 한국음식문화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