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미론] 직시

 1  [국어의미론] 직시-1
 2  [국어의미론] 직시-2
 3  [국어의미론] 직시-3
 4  [국어의미론] 직시-4
 5  [국어의미론] 직시-5
 6  [국어의미론] 직시-6
 7  [국어의미론] 직시-7
 8  [국어의미론] 직시-8
 9  [국어의미론] 직시-9
 10  [국어의미론] 직시-10
 11  [국어의미론] 직시-11
 12  [국어의미론] 직시-12
 13  [국어의미론] 직시-13
 14  [국어의미론] 직시-14
 15  [국어의미론] 직시-15
 16  [국어의미론] 직시-16
 17  [국어의미론] 직시-17
 18  [국어의미론] 직시-18
 19  [국어의미론] 직시-19
 20  [국어의미론] 직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의미론] 직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직시의 개념
2.1. 위치 결정
2.2. 기준과 대상

3. 직시의 중심
3.1. 나
3.2. 여기
3.3. 지금
3.3. 직시의 투사

4. 직시 표현의 용법
4.1. 제스쳐 용법
4.2. 상징적 용법

5. ‘이 · 그 · 저’의 직시 체계
5.1. 국어의 직시 체계
5.2. 언어들 간의 직시 체계의 차이
5.3. 나 먼저 원리

6. 직시의 유형
6.1. 인칭 직시
6.2. 시간 직시
6.3. 장소 직시
6.4. 담화 직시
6.5. 사회 직시

7. 직시 표현의 비직시적 용법 : 조응
7.1. 조응의 개념
7.2. 조응의 유형
7.3. 조응의 조건

8. 맺음말
본문내용
3. 직시의 중심

화자가 어떤 대상을 가리킬 때 중심이 되는 기준점이 필요한데, 이것을 직시의 중심(deictic center)이라고 한다. 직시의 중심에는 ‘화자’가 자리 잡고 있다. (p.335 예시)
직시 표현이 화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처음 지적한 사람은 독일의 언어철학자이며 심리학자인 뷜러(1934)인데, 그는 직시적 장의 한 가운데에는 ‘원점’(origin)이라고 하는 “I-here-now'의 세 단어가 있으며 이 세 단어가 직시의 중심을 이룬다고 말한다. 이것은 직시의 기본적 표현인 인칭, 장소, 시간에서 ‘나-여기-지금’이 중심임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레빈슨(1983)은 직시의 유형을 다섯 가지로 전형화하고 있다.

(6) ㄱ. 중심 인물 : 화자
ㄴ. 중심 시간 : 화자의 발화 시간
ㄷ. 중심 장소 : 발화 시간(또는 기호화 시간)의 화자 위치
ㄹ. 담화 중심 : 화자 자신이 발화할 때 존재하는 지점
ㅁ. 사회 중심 : 청자 또는 제3자와 관련된 화자의 상대적 신분이나 직위

3.1. 나

발화 상황이 누군가가 말을 하는 상황이라고 할 때, 말을 하는 누군가는 대부분 ‘나’라는 인칭 대명사를 통해 표현된다.

(7) 철수 : 누구세요?
영희 : 나야!

3.2. 여기

발화 상황을 구성하는 공간, 즉 ‘내’가 말하고 있는 곳은 ‘여기’이다.

(8) 철수 : 너 어디 있어?
영희 : 나 여기 있어.

주목해야 할 점은 ‘여기’가 가리키는 공간은 다양하다는 것이다.

(9) ㄱ. 여기에 담배를 끄시오. → 여기 = 재떨이
ㄴ. 개봉 시 여기를 여시오. → 여기 = 상자의 어느 한 지점

3.3. 지금

발화 상황을 구성하는 시간, 즉 ‘내’가 지금을 포함한 발화를 하는 시간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발화 순간 또는 기호로 옮기는 시간과 수신 기간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10) ㄱ. 지금은 12시 15분입니다.
ㄴ. 나는 지금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3.4. 직시의 투사

참고문헌
윤평현(2008), 『국어의미론』, 역락.
최전승 외 3인(1999), 『국어학의 이해』, 태학사.
정희자(2002), 『담화와 추론』, 한국문화사.
이익환 ․ 권경원 역(1992), 『화용론』, 한신문화사 (Stephen C. Levinson, Pragmatics, 1983).
이성범 외 3인(2002), 『화용론 연구』, 태학사.
이성범(2002),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