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의어 발생론 레포트

 1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
 2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2
 3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3
 4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4
 5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5
 6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6
 7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7
 8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8
 9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9
 10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0
 11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1
 12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2
 13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3
 14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4
 15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5
 16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6
 17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7
 18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8
 19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19
 20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의어 발생론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Ⅰ. 인지란 무엇인가?
1. 인지의 성격
1.1 인지, 감각, 지각
1.2 인식의 주관화
2. 인지의 영역
2.1 사유
2.2 인식
2.3 판단
2.4 믿음
3. 인지와 인지어


Ⅱ. 인지어의 범주와 특성
1. 인지어의 범주
1.1 인지 동사
1.2 인지 동사의 범위
1.3 인지성 명사
2. 인지어의 특성
2.1 구조적인 면
2.2 의미적인 면


Ⅲ. 인지 표현의 통사와 의미
1. 인지어의 통사 구조
1.1 주어 선택
1.2 결합 관계
1.3 호응 관계
2. 인지어의 의미 유형
2.1‘생각하다’류
2.2‘알다’류
2.3‘판단하다’류
2.4‘믿다’류

Ⅳ. 그 밖의 인지적 표현
1. 보조 용언 ‘싶다’의 인지적 의미
1.1‘싶다’의 성격
1.2‘싶다’ 구문의 유형 및 의미
2. 공간어‘앞/뒤’의 인지적 의미 확장
2.1 공간 개념어
2.2 위치 개념
2.3 시간 개념
2.4 인식 개념
3. 정치 은유에 나타나는 인지성
3.1 은유의 개념
3.2 은유의 생성 과정
3.3 정치 은유 표현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인지란 무엇인가?


1. 인지의 성격

인지(認知)는 단편적으로 얻어진 앎을 체계화하고 개념화하는 단계로서 화자가 어떤 사태를 파악할 때 나타나는 내면적인 심리 활동이다. 이 용어는 철학이나 심리학, 심리학, 인공 지능학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지각(知覺)과의 상호 관계를 통해서 설명되거나 또는 이해와 기억을 통한 지식의 습득 과정과 문제 해결이란 측면에서 다루어졌다.
인지 문법 학자들은 모든 의미 구조는 인지 영역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다고 파악하였으며 인지 영역에 모든 종류의 인지 과정을 상정하여 지각 경험, 개념, 개념적 복합체, 지식 체계 등을 포함시키고 있다. 이들은 의미를 개념화와 동일시하는데, 인지 과정이란 이런 개념화(심리적 경험)를 뜻하는 것이다. 인지 언어학은 언어 현상을 인지와의 관련성에서 설명한다는 점에서 모든 인간의 앎을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는 인지 과학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인지에 대한 연구는 인지라는 것이 대상에 대한 인식을 의미한다고 하여 인지의 범주를 감각이나 지각 차원과 동일하게 다루었다. 즉 감각이나 지각, 사유 등으로 하위 범주화하여 연구되었다. 여기서 감각을 인지에 포함시킨 까닭은 감각의 단계가 지각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각의 단계와 인지의 단계는 구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감각은 항상 외부 세계를 대상으로 하여 그것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기 때문이다. 반면 인지는 외부 자극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사유 과정을 거쳐 판단하는 심리적 활동이기 때문이다.
인지에 대한 철학적 개념에 해당하는 술어로 ‘인식(認識)’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용어는 인지의 내용과 다르지 않다. 철학에서는 인지적 범주를 지각에 바탕을 두고 설명하고 있어 인식과 지각을 구분한다.
이승복 외(1999:108)에서는, “인지 심리학은 일차적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세계를 이해하며 또 그들의 지식이 어떻게 결정을 내리게 하고 행동을 수행하게 하고 또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지에 관한 표상적 분석에 초점을 둔다.”라고 하였다. 이 때 인지라는 것은 경험한 바 있는 무엇을 기억해 내는 일이 되며 매우 현실적인 의미에서 우리 자신으로 만들어 주는 장기 기억 장치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변정민(2005). 우리말의 인지 표현. 월인
임지룡(2007). 인지의미론. 탑
임지룡(2008). 의미의 인지언어적 탐색.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