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

 1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
 2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2
 3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3
 4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4
 5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5
 6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6
 7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7
 8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8
 9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9
 10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0
 11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1
 12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2
 13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3
 14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4
 15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5
 16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6
 17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7
 18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8
 19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19
 20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텍스트 속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동화, 성경 주기도문, 신문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맞춤법 분석(노래가사 / 동화 / 주기도문 / 신문기사)
텍스트1. 노래가사 ‘잔향’ (작사․작곡․노래 김동률)
1. 소리에 관한 것
2. 형태에 관한 것
3. 띄어쓰기
텍스트2. 동화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1. 소리에 관한 것
2. 형태에 관한 것
3. 띄어쓰기
텍스트3. 성경 주기도문
1. 소리에 관한 것
2. 형태에 관한 것
3. 띄어쓰기
텍스트 4. 신문기사 ‘미수다 키 작은 남자는 루저 발언 일파만파’
1. 소리에 관한 것
2. 형태에 관한 것
3. 띄어쓰기
[부록]

Ⅲ. 한글맞춤법 기출문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 검게 그을린 내 맘에
→ ‘맘이/맘을/맘에/맘도/맘만’을 ‘마미/마믈/마메/맘도/맘만’으로 적으면 체언과 조사의 어형이 일정하게 보존되지 못한다. 예시된 표기와 같이 체언과 조사의 경계선을 분명하게 구별하여 적으면 체언과 조사가 모두 일정한 형식으로 고정되어 표기되어 혼란을 줄일 수 있다.
○ 숨을 막아도 만연해질 때
→ 숨이/숨을/숨에/숨도/숨만 (O) 수미/수믈/수메 (X)

2.2 어간과 어미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 용언은 문법상의 술어로 ‘활용하는 말’을 뜻하며 동사, 형용사를 일컫는 말이다. 어간과 어미는 용언에 대해 쓰는 말인데 어간은 용언의 개념을 나타내고 어미는 용언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는 말은 용언의 변하지 않는 부분인 실질관념과 변하는 부분인 형식관념의 한계를 명확히 구별하여 표기한다는 말이다. 이희승(2001),『새로 고친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즉 ‘없다’ ‘없는’ ‘없고’의 어간인 ‘없’은 실질관념으로써 형태가 변하지 말아야 하며 형식 관념인 어미의 형태는 변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체언과 조사의 관계에서처럼 용언의 어간과 어미 역시 구별하여 적으면 표기형이 고정되어 독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소리 없는 그대의 노래 / 향기 없는 그대의 숨결
→ ‘없는’의 기본형은 ‘없다’이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없(어간)+는(어미)’ 이다.
○ 귀를 막아도 은은해질 때 / 숨을 막아도 만연해질 때
→ ‘막아도’의 기본형은 ‘막다’이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막(어간)+아도(어미)’ 이다.
‘은은해질’의 기본형은 ‘은은해지다’이다. 이는 다시 본용언 ‘은은하다’와 보조용언 ‘지다’로 나누어진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은은해지(어간) + -ㄹ(어미)’이다.
‘만연해질’의 기본형은 ‘만연해지다’이다. 이는 다시 본용언 ‘만연하다’와 보조용언 ‘지다’로 나누어진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만연해지(어간) + -ㄹ(어미)’이다.
○ 남 모르게 삭혀온 눈물 다 게워내고
→ ‘모르게’의 기본형은 ‘모르다’이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모르(어간)+게(어미)’이다.
‘삭혀온’의 기본형은 ‘삭혀오다’이다. 이는 다시 본용언 ‘삭히다’와 보조용언 ‘오다’로 나누어진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삭혀오(어간) + -ㄴ(어미)’이다.
‘게워내고’의 기본형은 ‘게워내다’이다. 이는 다시 본용언 ‘게우다’와 보조용언 ‘내다’로 나누어진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게워내(어간)+고(어미)’이다.
○ 허기진 맘 채우려 불러보는 그대 이름
→ ‘허기진’의 기본형은 ‘허기지다’이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허기지(어간)+ -ㄴ(어미)’이다.
‘채우려’의 기본형은 ‘채우다’이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채우(어간)+려(어미)’이다.
‘불러보는’의 기본형은 ‘불러보다’이다. 이는 다시 본용언 ‘부르다’와 보조용언 ‘보다’로 나누어진다.
이를 어간과 어미로 구별하면 ‘불러보(어간)+는(어미)’이다.
○ 하루하루 쌓아온 미련 다 털어내고
→ ‘쌓아온’의 기본형은 ‘쌓아오다’이다. 이는 다시 본용언 ‘쌓다’와 보조용언 ‘오다’로 나누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문화관광부 고시 및 공고(2006), 『국어 어문 규정집』,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김재정(2004),『재정국어』, 새롬 출판사
민현식(1999), 『국어정서법연구』, 태학사
이희승(2001),『새로 고친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최호철(2009),『국어 문법교과서 연구』, 제이앤씨
허웅(2008),『언어학개론』, 지만지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518100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jeyoty?Redirect=Log&logNo=80005114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