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

 1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1
 2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2
 3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3
 4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4
 5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5
 6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역사와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머리말

2.통일신라시대의 불교

(1)통일신라 전기 태종무열왕 ~ 경덕왕, 신라 중대
의 불교

1)정치이념으로서의 불교의 역할 축소

2)불교의 대중화

3)교학의 발전

(2) 통일신라 후기의 불교

1)교학의 침체

2)선종의 수용과 전개

3)풍수지리설의 유입

3.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통일신라 전기 태종무열왕 ~ 경덕왕, 신라 중대
의 불교

1)정치이념으로서의 불교의 역할 축소
불교계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불교의 정치이념으로서의 역할이 축소되었고, 그 대신에 개인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측면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삼국시대의 불교는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수용되면서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불교사상을 이용한 측면이 많았다. 반면 통일신라에서는 불교의 철학적, 종굑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세계아 인생의 가치에 대한 반성 및 불교신앙을 통한 대중들의 삶의 위안 등이 보다 중요한 역학을 담당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삼국통일을 이루어 낸 왕실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또한 태종무열왕 이후의 왕실에서는 왕실의 정당성을 종교적 신성성이 아닌 군주의 도덕적 자질과 백성들에 대한 실제적 혜택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유교적 정치이념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는 불미스럽게 폐위당한 진지왕의 손자인 김춘추가 이전의 국왕들처럼 신성함을 주장하기에 부족했다는 출신상의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도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당시에 불교적 신성성을 근거로 하여 왕실의 권위를 내세운다는 것은 이미 한계에 이러렀기 때문이었다.
법흥왕 때 불교를 공인한 후 신라는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대외적으로 팽창하면서 불교적 정치이념을 이용해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하지만 선덕여왕 이후 시기에 고구려와 백제의 공격으로 국가의 세력이 위축되면서 불교적인 수식만으로는 왕실의 권위를 내세우기 어려운 상황이 나타나고 있었다. 더욱이 여왕의 즉위에 불만을 가진 일부 정치세력들이 여왕의 교체를 요구하며 반란을 일으키는 등 정치적으로 불안한 상황이 계속되었다. 또한 점점 심화되어 가는 삼국의 항쟁 속에서 백성들의 자발적인 지지를 끌어낼 수 있는 정책들도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정치를 안정시키고 외국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는 정치가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태종무열왕은 불교적 정치이념 대신 국왕의 실제적 능력과 백성에 대한 덕치를 강조하는 유교적 정치이념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참고문헌
곽승훈, 『통일신라시대의 정치변동과 불교』, 국학자료원, 2003
서윤길, 『한국불교사상』, 운주사, 2006
이만 외 4명, 『불교사의 이해』, 조계종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