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1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1
 2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2
 3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3
 4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4
 5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1. 고려시대 불교
고려 불교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와 달리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조화 문제를 새로운 과제로 하였고, 그 영향은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고려 불교는 한국 불교사에서 최대 변혁기에 해당한다.
고려 불교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통합을 절실한 과제로 한 것에는 정치적·사회적 배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고려 불교의 교종(敎宗), 선종 통합 노력은 불교 안의 문제로부터였다기보다는 외부적 영향이 더 컸다고 말할 수 있다.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통합은 사상계의 분열과 함께 정치세력의 분열을 통합하는 길이었다.
고려 불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대립과 그 극복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갈등과 화해는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며, 교종(敎宗)과 선종(禪宗)간의 갈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한 사람이 의천과 지눌이다.
2. 의천
의천의 사상과 활동은 고려중기의 정치, 사회, 사상적 동향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으며, 고려초부터 계속된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대립과 불교계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하여 화엄교학을 위주로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박용진, 「義天의 華嚴一乘思想과 그 불교사적 의미」, 『한국사상학 제 31집』, 한국사상학회, 2008, p128
의천의 사상은 화엄교학과 천태교학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박용진, 「義天의 華嚴一乘思想과 그 불교사적 의미」, 『한국사상학 제 31집』, 한국사상학회, 2008, p152
(1)천태사상(天台思想)
의천은 당시 고려 불교계의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 종파간의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천태종을 개창하게 된다. 의천의 천태사상이 지니는 독자성은 교관병수사상이라 말할 수 있다. 교관병수란 경전을 읽고 참선을 수행하는 방법을 함께 닦아서 진리를 깨우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의천은 삼승의 가르침의 우월함을 주장했다. 삼승의 가르침이란 불교를 3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것이다.
의천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삼승의 가르침이 공장의 가르침이나 노장의 학설과 같이 인승과 천승에서는 일치하지만 출세간의 가르침에 있어서는 어찌 공자나 노장의 가르침과 더불어 말할 수 있으리오” 라고 말하며 어느 종파나 주의 주앙에 얽매이지 않고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소신을 드러낸다.
의천은 사상의 대립보다는 융화를 강조한 원효를 높이 존경하였다. 원효는 불교를 종파나 주의 주장으로 구별하는 것을 싫어했다. 그는“모든 것은 일승이다.”라는 말로 종파적 대립은 무의미하며 이익이 없는 것을 밝히고 있다. 원효의 입장에서 화엄종이다 선종이다 법상종이다 하면서 자기가 소속된 종파의 우월성을 논의한다는 것은 가소롭기 짝이 없는 것이다.
의천은 이러한 원효의 화쟁불교의 사상적 영향권에서 독자적인 사상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확립한 사상체계가 일삼삼관의사상과 회삼귀일사상이다
일심산관의사상이란 화엄종의 수행법으로서 실천수행과 이론적인 교리 조직을 말한다. 그리고 회삼귀일사상이란 성문·연각·보살의 삼승(三乘)에 대한 여러 가지 가르침을 설하였지만 그것은 방편에 지나지 않으며, 결국은 모두 일승(一乘)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이는 성문, 연각, 보살이 서로의 우월성과 독자성을 자랑하면서 다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의천의 의 대표적 사상 가운데 하나로 난립하고 있었던 당시 불교계를 안정시키고 하나로 융합시켜 국가와 백성들의 이익과 안락을 이끌어 내는데 이바지하도록 하겠다는 의도가 강하게 숨어있다. 의천『대각국사』밀알, 2000, p196~206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용진, 「義天의 華嚴一乘思想과 그 불교사적 의미」, 『한국사상학 제 31집』, 한국사상학회, 2008,
의천『대각국사』밀알, 2000,
전행욱(2010), 「목우자 지눌의 정혜결가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김방룡(2006), 『보조 지눌의 사상과 영향』 , 보고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