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

 1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1
 2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2
 3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3
 4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4
 5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5
 6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중세사] 정관정요를 읽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정관정요란?
1) 편찬 동기
2) 구성
Ⅲ. 정관정요의 내용
Ⅳ. 정관정요의 영향
Ⅴ. 정관정요에 대한 평가
Ⅵ. 마치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貞觀政要』는 당 태종(이 세민)의 정치에 관한 언쟁을 태종 사후 50년경 吳兢이라는 역사가가 10권 40편으로 편집한 서책으로 당 태종과 그의 신하간의 대화를 바탕으로 해서 기술한 것으로 동아시아의 제왕학이라고 불리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에게 읽혀지고 있는데 이 책을 통해 우선 당 태종(이 세민)이라는 인물에 대해 후세에 여러 평가가 대두되고 있는 그의 업적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해 보고 또한 어떠한 내용이 반영되어져 있으며 혹 그 기술내용과 당시 시대상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보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책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떠한 점을 시사하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Ⅱ. 정관정요란?
1) 편찬동기
우선 이 책을 편찬한 吳兢에 대해 알아보면, 그는 당나라 중종, 현종 시대의 사관으로 현종 천보 8년(749년)에 죽었으니 이 책을 편찬한 시기는 당 태종 시대와는 40-50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는 사가로서 당나라의 「史通」의 저자인 劉知幾와 함께 당시 일류 사가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武后實錄」을 편찬할 때에는 곡필아세하지 않는 자세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이후 재상이 된 張說이 「武后實錄」에서 자신의 행위를 고쳐 달라는 압력을 거절하여 후세 사가들의 모범이 될 정도로 사가로서의 면모는 이 책에서도 당 태종의 장점만이 아니라 단점까지도 적나라하게 밝힌 점으로도 능히 알 수 있다. 그가 왜 「貞觀政要」를 썼는가에 대한 추측은 당시 당나라의 국가적 위기와 이를 극복하여 나라의 기틀을 바로잡고자 하는 충정에서 였다고 보인다. 즉 영휘 6년(655년) 고종의 황후가 된 측천무후는 왕이 만년에 중풍으로 눕게 되자 모든 정치를 결재하다가 고종이 죽자 어린 중종, 예종을 번갈아 천자로 삼아 전횡하고, 결국 사성 7년(690년) 측천무후 스스로 제위를 계승하여 나라 이름을 周로 고치기에 이른다. 당 나라 종실들을 차례로 살해하는 그에게 저항세력이 잇달았으나 모두 실패하고 무씨 일족에 의한 전제정치가 극성을 떨치기에 이르렀고, 당 나라는 국가 존망의 위기를 맞게 되지만 측천무후가 노후로 죽자 이 틈을 이용해서 재상 장간지가 중종을 복위시켜 당나라의 왕조를 회복시키기에 이르렀고, 사학자 吳兢은 이를 다해응로 여겨 이 책을 편찬하게 된다. 오긍은 일찍부
참고문헌
吳兢 저, 정애리 역 『貞觀政要』 1998, 새물결
동양학 총서 『貞觀政要․당 태종』 1998, 자유문고
누노메 조후, 구리하라 마쓰오 외 지음 임대희 역, 『중국의 역사 ․수당오대』 2001, 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