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

 1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
 2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2
 3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3
 4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4
 5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5
 6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6
 7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7
 8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8
 9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9
 10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0
 11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1
 12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2
 13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3
 14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4
 15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5
 16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6
 17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7
 18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학] 초공본풀이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큰굿 속에 나타난 초공본풀이의 제의

3. 초공본풀이 내용 요약과 비교

4. 초공본풀이와 굿과의 관계

5. 초공본풀이와 연관된 타 지역 서사물 비교

6. 초공본풀이 해석
본문내용
3.초공본풀이 내용 요약과 비교

여섯 분의 본풀이를 꼽을 수 있겠다.
(1.박봉춘 본, 2.고대중 본, 3.김명윤 본, 4.김병효 본, 5.안사인 본, 6.이중춘 본)
이 6본을 꼼꼼히 읽어 분석해야 올바른 이해와 분석이 되리라 생각하고 초공본풀이 제차를 직접 보고 전체 굿 속에 그 연관성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 중 절차까지 비교적 상세히 기록된 안사인 본을 요약해 보았다.

1) 초공본풀이 줄거리 요약 현용준, (안사인 본 요약 정리),⌜제주도 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1980.

(①노가 단풍 지명왕 아기씨 탄생)
초공 성 하르바님 석하 여래, 성 할마님 석하 모니, 외 하르 바님 천하 임 정국 대감, 외 할마님 지하 김 진국 대감, 초공 아방은 황금 산 도단 땅 주자대 선생, 초공 어멍 ,초공 큰아들 신구월 초여드레 본 멩두, 초공 셋 아들 신 구월 열여드레 신 명두, 작은아들 신 구월 스무여드레 살아 살 축 삼 멩두 초공 연질로 본산 국 입니다.
옛날 옛적 천하 임 정국 대감님과 지하 김 진국 부인님이 고대광실 높은 집에 호호태평하게 살았으나 50살이 근당해도 자식 하나 없어 근심입니다. 하루는 심심해 팽 낭 아래에서 바둑 장길 두당, 말 모른 까막이도 새낄 깨왕 까악 까왁 울어가고, 초막에서 얻어먹는 거지도 아일 놓고 웃음 웃엄 시난 자식하나 어신 팔자 살아서 쓸 곳 없다 시며 사랑방 문을 잠가 들어가 김 진국 부인님과 은단 병에 마개를 막고 촘 실 로 병목을 묶어 이리 놀리고 저리 놀려 봐도 웃음이 아니 나난 부부가 앉아 대성통곡 울어갑니다. 이때 황금 산 도단 땅 주자대사가 헌 당 헌 절을 수리하여, 인간의 명 어신 자손 명을 주고, 복 어신 자손 복을 주저, 권제삼문 받으러 시군 문으로 들어옵니다. 임 정국 대감님 권제삼문 드리며 오십이 근당해도 자식 없는 사주를 가려 달라 합니다. 소사(주자대사)는 영급 좋고 수덕 좋은 송낙지도 구 만장, 가사 지도 구 만장 상 백미도 일천 석, 하 백미도 일 천석 은도 만량 백 근 채와 놓고 우리당에 오랑 석 달 열흘 백일까지만 원불수륙 드렴 시민 남녀자식 있을 거라 합니다. 그날부터 임 진국 대감님은 백 근 건량 채와 놓고 검은 밭갈 소에 실어 황금 산 도단 땅에 올라 목탁과 바라, 북을 치며 아침엔 아침수륙, 점심엔 점심수륙, 저녁엔 저녁수륙, 하루앉아 삼세 번 연 석 달 열흘 백일정성 드렸습니다. 백일 되는 아침에 대추나무로 만든 저울로 가져온 보시를 저울 리니 한 근 부족한 아흔아홉 근이 되어 여 자식을 주니 칠월칠석 천상 베필 합 궁 일에 맺어 아방 몸에 흰 피 받고 어멍 몸에 검은 피 받아 아홉 달 열 달 준삭 채와 금 시상에 솟아나 앞이마에 햇님 이고 뒷 이마에 달님이여! 양단어깨 금산샛별 오송 송이 박힌 듯한 아기씨가 탄생합니다. 임 정국 대감님 산천초목 구시월 단풍 든 걸 보고,아기씨 이름을 저산줄기 뻗고, 이 산줄기 뻗어 왕대월석 금 하늘 라 하였습니다.
참고문헌
강 소전, “제주도 굿의 ‘공시풀이’고찰”, ⌜한국 민속학⌟ 제14집, 2007.
문무병, (이중춘 본),⌜제주도 무속신화⌟, 칠머리당굿보존회, 1998.
문무병, “제주도 굿 운동의 실천과제”,.⌜민족과 굿⌟, 민족굿회.
문무병, “제주도 무조 신화(무조 신화)와 신 굿”, ⌜비교문화연구⌟제5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 연구소 , 1999.
문무병, ⌜제주의 민속V-민간신앙 사회구조⌟, 제주도, 1998.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서대석, 박사논문: ⌜서사무가연구⌟, 1979.
설성경, “제주문화, “초공본풀이의 서사구조 연구”, ⌜제주도 言語 民俗論叢⌟.
신동흔, ⌜살아 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 신문사, 2004.
신월균, “의 구조고찰”, ⌜국어국문학⌟ 100호, 1988.
あきば, 심우성 옮김, (박봉춘본). ⌜제주 무속의 연구 上⌟ , 동문선, 1991.
윤교임, 석사논문: ⌜여성 영웅 신화 연구: 초공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에 대 한 문화 기호학적 해석⌟, 서강대, 1995.
진성기, (김병효 본, 김명윤 본),⌜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 , 민속원, 1991.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 무가⌟, (고대중 본), 역락, 2001.
장주근, ⌜풀어쓴 한국의 신화 ⌟,집문당,1998.
현용준, (안사인 본),⌜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 ⌟, 신구문화사,1980.
현용준, 著-⌜무속신화와 문헌신화 ⌟, 집문당, 1992.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현용준, ⌜제주도 무속 연구⌟, 집문당, 1986.
현용준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집문당, 2002.
현용준, (사진: 김수남), ⌜제주도 신굿 한국의 굿 1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