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

 1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
 2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2
 3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3
 4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4
 5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5
 6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6
 7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7
 8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8
 9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9
 10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0
 11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1
 12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2
 13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3
 14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4
 15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5
 16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6
 17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7
 18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8
 19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19
 20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학]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의 기능과 역할 분류

1.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분류하기

2. 제주 굿 제차 속에 나타난 굿 노래의 기능과 성격

3.굿 노래의 변화와 굿 속에 삽입된 민요 분류하기

Ⅲ.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의 분석

Ⅳ. 나가며
본문내용

Ⅱ.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의 기능과 역할 분류
굿 제차 속에서 歌唱에 치중한 무가를 굿 노래라고 상정하고 전체 제주 굿 속에서 굿 노래를 분류해 보고자 한다. 음률이 본풀이 말명이나 굿 제차상의 말명과 뚜렷이 구별되는 굿 놀래 열 두 개를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제주 굿 속에 나타나는 굿 노래는 말 그대로 굿 제차 속에서 심방이 부르는 음률이 강조 된 무가로 무속 의식요라는 커다란 범주 속에 포함되는 만큼 종교 주술적인 면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음률로 강조된 굿 노래들은 그 굿 제차에 따라 필요 적절한 곳에서 그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함으로써 굿에 생동감과 신명을 더하게 된다. 굿 노래들은 무엇을 위해 불려 졌는지 제차 상에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화되어 자리매김 되면서 굿 노래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여러 제차에 불려 지기도 한다. 제주 굿 전체를 꿰지 못한 미흡한 수준이지만 소리 공연을 통해 불렀던 경험을 바탕으로 굿 노래 채보와 기존의 자료에 의존하며 작은 시도를 해 보고자 한다.
1. 제주 굿 속에 나타난 굿 노래 분류하기
먼저 제주 굿을 무속 의식요라는 커다란 범주 속에서 서사무가, 사설무가, 唱 무가(굿 노래)로 나누어 보았다. 여기서 굿 말명과 확연하게 구분되어 가창에 비중을 둔 굿 노래를 열 두 개를 뽑아 보았다. 열 두 개의 굿 노래는 ①덕담 창,②담불소리, ③서우젯 소리, ④새  림, ⑤푸 다 쉬(허쉬 소리), ⑥사나 사나(열려 맞자), ⑦성주소리(영등산에 덕들낭 비자), ⑧성주가, ⑨솔기소리, ⑩비념소리, ⑪나숩고 나수자(할망 리, 당주리) ⑫난니야 타령이다.
분류표(1)제주 굿 속에 굿노래
참고문헌

문무병. ⌜제주도 무속 신화: 열두 본풀이 자료집⌟, 칠 머리 당굿보존회,1998.
あきば, ⌜제주 무속의 연구 下⌟ 심 우성 옮김(박 봉춘 본), 동문선,1991.
변성구, ⌜제주 민요의 현상론적 연구⌟ 4장.4의 연행과 사설 양상,
탐라문화연구소, 2007.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 무가⌟ 고대중 본.
진성기, ⌜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 민속원,2002.
허영순, ⌜우리고대사회의 무속사상과 가요⌟, 세종출판사.
현용준 ,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현용준, ⌜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 (안사인 본), 신구문화사,1980.



강소전, «제주도 굿의 ‘공시풀이’고찰, 한국 민속학 제14집,2007
문무병, 제주도 무조 신화(무조 신화)와 신 굿, 〚비교문화연구〛 제5호,
서울대학 비교문화연구소 1999.
문무병제주의 민속V-민간신앙 사회구조 ,제주도,1998.
문무병, 제주민요에 나타난 무가, 민요논집 제2호,1993.
박경수, 민요논집, 한국 민요의 기능별 분류 체계, 민요 논집, 제2호,1993.
북제주군, 아름다운 전통의 소리, 예솔기획,2001.
변 성구, 제주도 서우 젯 소리 연구, 제주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86.
양 영자, 논문: 제주 민요 시집살이 노래 연구, 제대 국문과 석사학위 논문,199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