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분단과한국전쟁]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쟁의 유산

 1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쟁의 유산-1
 2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쟁의 유산-2
 3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쟁의 유산-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쟁의 유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전 협정의 체결

2. 평화의 도래와 남로당계의 재판

3. 전쟁이 가져온 피해

본문내용
7장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쟁의 유산


1.정전협정의 체결

저우언라이의 제안과 그 배경-1953년 3월30일 저우언라이 수상은 중국의 종래 입장을 양보하여 포로인도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발표하여 정전회담을 재개시켜 타협에 이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에 대한 배경으로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외부적인 이유로는 미국의 대통령이 트루먼에서 아이젠하워로 바뀌면서 원폭사용 고려 등 적극적으로 나오고 있었고, 스탈린이 평화공존을 강조하면서 박헌영을 한국전쟁 실패책임을 물어 체포하는 등 전쟁수습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적인 이유로 전쟁을 계속하기에 곤란이 늘어가고 있었기 때문에 타협할 기회를 보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타협할 명분을 찾고자 했던 중국에게 2월에 있었던 미국의 부상포로 즉시 교환제의는 정전협상을 재개할 중대한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승만 대통령의 저항과 미국의 양보-이에 대해 이승만 정부는 정전 반대 입장을 취했다. 그는 한반도 재통일, 북한군 무장해제 대한민국 주권존중 등 정전의 기초가 될 수 없는 실현 불가능한 조건을 붙이면서 중공군이 주둔하게 되는 경우 전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 그것이 안 된다면 전후 한미안전보장조약 조인을 요구한 것이다. 이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미국은 이승만을 쿠데타로 제거할 방안(에버레디 계획)까지 마련하고 있었다. 이 작전을 시행 하려 했으나 이승만의 고집이 조금 꺾인 것으로 판단되어서, 실행할 수 없었다. 이 워싱턴에서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이승만의 정전반대 움직임을 우려 안전보장을 약속하는 방향으로 준비하고 있었다. 5월25일의 정전회담에서 해리슨 수석대표는 새로운 제안을 내놓는다. 송환을 원하지 않는 포로는 스웨덴, 스위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인도 5개국으로 구성되는 송환위원회로 인도하고, 그 사이에 쌍방의 대표가 포로와 접촉, 의사를 확인하고, 90일 후 면접을 끝내 120일 후에 석방한다는 것이었다. 이 제안은 말한 것도 없이 미국의 양보로서 중국으로서는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