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

 1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1
 2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2
 3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3
 4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4
 5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5
 6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6
 7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7
 8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8
 9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9
 10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론] 오영진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가 오영진
Ⅱ. 작품 설명
Ⅲ. 작품 분석
1. 줄거리
2. 구성(플롯)
3. 등장인물
4. 어법
5. 장관
6. 소리
7. 주제 ․ 사상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인과응보의 구성
- 실제와 이상의 대결에서 이상이 승리하는 희극적 특성은 인과응보의 플롯구조로 실제화 된다.
- 인과응보 논리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여 풍자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 인과응보 논리의 한계: 근거 없는 낙관으로 비쳐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 인과응보의 논리는 이상적으로는 마땅하지만 현실적 삶에서는 제대로 지켜지기 어렵기 때문에, 때때로 지극히 추상적이고 비논리적인 것으로 보여 설득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다.
* 작품 속 인과응보의 근거: 도덕적 기준과 사회기강이 살아있는 조국.
- 이 작품은 인과응보의 결과가 성립되는 근거를 ‘도덕적 기준이 살아있는 조국’으로 설정하고 있다. 거짓 자살로 탈출을 시도하려 하는 이중생의 태도는 인과응보와는 거리가 멀지만, 강직한 김의원에 의해 인과응보의 계기가 마련된다. 부정적 인물의 강력한 힘을 한 순간에 꺾어버릴 수 있는 힘은 바로 도덕적 강직성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작가는 그러한 가치관을 해방 정국의 어수선함을 진정시키고 새로운 조국을 건설하는 원동력으로 보았다. 즉 이 작품은 결과의 근거를 확실히 제시함으로써 인과응보 논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또한 이중생은 결국 자신이 판 함정에 자신이 빠져 재산을 꼼짝없이 빼앗길 상황에 놓이게 되는데, 이처럼 자신이 만든 계략에 자신이 휘말려 꼼짝없이 당하게 되는 절묘한 상황과 그러한 상황을 낳게 된 계기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풍자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4) 아이러니적 희극 구성
- 아이러니적 희극: 축제적 사회의 성립에 방해꾼의 역할이 지대할 경우 그 인물을 추방, 희생시키는 희극.
- 부정적 인물인 이중생의 몰락과 죽음으로 끝을 맺는 아이러니적 희극에 속한다.

* 결말의 의의: 해방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친일파가 득세하는 시대 상황을 비판하고, 낡고 부패한 기성시대의 지배로부터 정의롭고 건강한 질서가 지배하는 새 시대로의 전환에의 희망을 드러낸다.
* 결말의 한계: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결말을 통해 희극적 거리 창출에 실패하고 있다. 희극의 축제적 성격상 희생양의 추방을 가벼운 톤으로 취급하지 않고 극단적인 죽음으로 밀고 가면 동정과 비애의 감정을 유발하게 되기 때문에 희극의 심리적 거리를 깨뜨리게 되고, 설득력이 약해지게 된다. 김성희, ≪한국현대희곡 연구≫(태학사,1998), p260

이중생이 곤경에 빠지고 관객이 그것을 보며 웃게 되는 순간에는 친일잔재가 청산되어야
참고문헌
김성희, 태학사, 1998
민병욱 외, 삼지원, 1996
김재석,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통권 제 59호,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