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

 1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
 2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2
 3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3
 4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4
 5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5
 6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6
 7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7
 8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8
 9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9
 10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0
 11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1
 12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2
 13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3
 14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4
 15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류와 식량] 우리는 왜 세 끼를 먹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끼니’의 출현

1.2 연구의 동기 및 목적

2. 본론

2.1 끼니 수의 역사

수렵·채집사회 시대

농경사회 시대

2.2 하루에 세 끼를 먹게 된 요인

2.2.1 과학혁명

1. 토양의 관리

2. 병충해 방지

3. 식품의 유통 및 보존

2.2.2 노동량의 증가

1. 산업혁명

2. 조명의 등장

2.3 하루 세 끼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2.3.1 긍정적 영향

1. 발육, 성장의 측면

2. 요리의 다양성 측면

3. 인간관계의 측면

4. 휴식 시간의 증가

2.3.2 부정적 영향

1. 건강적 측면

(1) 하루 세 끼 식사를 하는 것의 부정적 영향

(2) 아침식사를 먹는 것의 부정적 영향

2. 환경적 측면


세 끼 중 한 끼 음식물쓰레기…연간 車수출액 규모

3. 경제적 측면

2.4 시사

3. 결론

참고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2.2.2 노동량의 증가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과학혁명은 식량자원을 증가시킴으로써 세 끼 식사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잉여 식량 자원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람들이 세 끼 식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면 세 끼 식문화는 현재와 같이 보편화되지 못하였을 것이다. 사람들이 세 끼 식사에 대해필요성을 느낀 것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노동량의 증가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 산업혁명

산업혁명은 인류 노동의 역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산업혁명의 체제에서는 대량생산이 강조되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공장 노동자들은 평균적으로 하루에 12시간을 일할 정도로 노동시간이 매우 길었다. 이러한 노동량의 증가로 인해 인류가 섭취해야하는 에너지는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세 끼 식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을 것이라고 본다.
평균적으로 산업시대의 공장노동자들은 일주일 동안(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70 ~ 80시간 즉 하루에 약 14시간씩 일을 하였다. 하루 작업시간이 14시간인 경우의 시간분배 상황은 아래와 같다.
작업
소요시간
휴식
소요시간
6-8:30
2.5




8:30-9:00
0.5
9-13:00
4.0




13:00-14:00
1.0
14-16:30
2.5




16:30-17:00
0.5
17-20:00
3.0


작업
12
휴식
2.0


위 표에서는 작업시간이 12시간, 휴식시간이 2시간으로 총 14시간의 근무 시간이 나타나 있지만, 휴식시간 단축운동이 광범하게 행해지고 있었던 사실, 기술적 결함으로 인한 생산결손을 충당하기 위해 야간작업이 실시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는 사실 등을 고려해 본다면 실제 노동시간은 이보다 더욱 길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더욱이 산업시대에는 노동자들이 출․퇴근시에 이용할 수 있는 근거리 교통수단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노동자들은 최소한 한 시간, 심지어는 두 시간 내지 세 시간까지 걸리는 공장과 집 사이의 거리를 걸어 다녔다. 헬무트 쉬나이더, 한정숙 역, 『勞動의 歷史 : 고대 이집트에서 현대 산업사회까지』, 한길사, p280~281
즉, 산업시대로 들어서면서 인류의 에너지 소모량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되었고, 두 끼만 먹는 식생활로는 이러한 에너지 소모량을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세 끼 식문화는 이러한 사회 현상과 함께 자연스럽게 등장하게 되었을 것이
참고문헌

김숙희,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신광출판사
알렉스 맥길리브레이, 이충호 역, 『세계를 뒤흔든 침묵의 봄』, 그린비
와타나베 쇼, 김광석 역, 『아침식사는 해롭다』, 신한미디어
이시게 나오미찌, 안명수 역, 『식탁문명론』, 유한문화사
이태근, 『밥상혁명』, 더난출판
헬무트 쉬나이더, 한정숙 역,『勞動의 歷史 : 고대 이집트에서 현대 산업사회까지』, 한길사

참고 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378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2652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26524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81349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52341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38364
이동구, “한국인 노동시간 OECD 평균보다 연간 629시간 길어”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detail&rev=5&query=%C6%F2%B1%D5%B3%EB%B5%BF%BD%C3%B0%A3&from=image&ac=-1&sort=0&res_fr=0&res_to=0&merge=0&spq=0&start=5&a=pho_l&f=nx&r=5&u=http%3A%2F%2Fnews.naver.com%2Fmain%2Fread.nhn%3Fmode%3DLSD%26mid%3Dsec%26sid1%3D102%26oid%3D081%26aid%3D0000122399&thumbnail=http%3A%2F%2Fimgnews.naver.com%2Fimage%2Fthumb120%2F081%2F2007%2F02%2F20%2F122399.jpg&signature=265705265328&gdid=880000D1_000000000000000000122399
“일에서 인간의 행복을 느끼는 것 자체가 불행일지도 모릅니다.”
http://blog.naver.com/wellbaum?Redirect=Log&logNo=110042240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