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

 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
 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2
 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3
 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4
 5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5
 6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6
 7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7
 8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8
 9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9
 10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0
 1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1
 1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2
 1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3
 1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 1부 -
1. 문제제기
2. 당시의 사회상
3 고려가요가 전해지는 문헌
1) 󰡔악학궤범󰡕
2) 󰡔악장가사󰡕
3) 󰡔시용향악보󰡕
4. 선택된 고려가요
5. 과 의 비교를 통해 보는 고려가요의 생명력

- 2부 Corea의 국제도시 개경 -

1. 의 시대
1) 쌍화점의 창작시기
2) 충렬왕을 통해 살펴보는 고려
2. 의 공간
1) 쌍화점의 전체 구조 설명
2) ‘쌍화점’ 공간 분석
① 쌍화
② 회회아비
③ 싯기 광대
3) 공간 분석의 결론
3. 으로 만나는 국제도시 개경

4. 결론
본문내용

성종실록에 나와 있듯이 당대의 속악, 즉 당시 대중음악에 대한 지배층들의 태도를 볼 수 있다.

3 고려가요가 전해지는 문헌

이런 사회적 상황 속에서 비교적 온건한 고려가요만이 선택 기록되었고, 나머지들은 구전으로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선택 기록된 고려가요가 전해지는 책들의 성격을 비교해 보자.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공통점
궁중의 제례 및 연향을 위한 목적으로 국가에서 편찬되었음
목판 인쇄본으로 대량 인쇄됨
차이점
음악의 원리, 용법, 기타 악기, 예물의 형체, 제법, 무도의 절차등을 그림과 글로 기록
단순한 가요집으로 가사만 기록

악보와 함께 가사를 1연 기록


󰡔악학궤범󰡕의 경우 악서의 전범을 세우고자 궁중 음악의 총체적인 방면에서 기록되었다. 그래서 우리가 살펴보는 고려가요에 대한 기록은 많지가 않다. 또한 󰡔시용향악보󰡕의 경우 악보에 비중을 두었기 때문에 가사는 1연밖에 나와 있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악장가사󰡕에 집중을 하며 알아보겠다.
1) 󰡔악학궤범󰡕


전하께서는 성군으로서 성군을 이으셨으니 성헌을 준수하여 전성이 개발하지 못한 것을 개발하셨으니 예악으로 태평 시절을 일으킬 때가 바로 지금이다. 장악원이 소장한 의궤와 악보가 오랜 세월이 지나서 해어졌고 다행히 보존된 것 역시 모두 소략하고 오류가 있으며 빠진 것이 많다. 이에 무령군 유자광 및 성현, 주부 신말평, 전악 박곤, 김복근에 명하여 다시 교정하게 하였는데 먼저 율을 만드는 원리를 말하고 다음에는 율을 쓰는 방법을 말하였으며 악기의물의 형체를 제작하는 일과 무도 철조하는 진퇴의 절차에 이르기까지 모두 기재하였다. 책이 이루어지자 악학궤범이라 명명하였다.…적어도 악보만 있으면 음악의 완급을 알 수 있고 그림이 있으면 악기를 분별할 수 있으며 문적이 있으면 그 시행은 알 수 있다. … 이것이 신(臣) 등이 졸렬한데도 불구하고 이 책을 편찬한 이유이다. ……
표 1 악학궤범 서문


󰡔악학궤범󰡕의 서문에서 알 수 있듯이, 유학을 국교로 삼은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통치 질서를 위한 ‘예악’ 예법과 음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의 중요성을 자주 역설했다. 이에 따라 문화사적 정비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그 맥락에 따라 성종시기에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다.
󰡔악학궤범󰡕은 총 9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악원 조선 시대에,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전악서를 고친 이름이다.
이 소장하고 있는 의궤와 악보를 정보하고 아울러 악률의 원리, 용법, 기타 악기, 예물의 형체, 제법, 무도의 절차를 도설하였다. 이러한 배경 아래 시간 예술로서 음악이 갖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악보, 악기 등을 문자와 그림으로 기록함으로서 보존은 물로 악서의 전범을 세우고자했다. 특히 이 중에서도 권5 향악정재에는 동동, 정읍사, 처용가 등의 악가가 춤을 추는 방법과 함께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 세가 권 5
『고려사절요』 권 22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다운샘, 2004.
김명준, 『한국고전시가의 모색』, 보고사, 2008.
김명준 『한국시가문학총서11』「한국고전시가의 모색」, 도서출판 보고사, 2008
국립국악원전통예술진흥회편저, 『악학궤범』, 은하출판사, 1989.
국립국악원전통예술진흥회편저, 『금합자보외 4편』, 은하출판사, 1989.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서긍 저· 조동원외 역,『선화봉사고려도경』, 황소자리, 2003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려가요연구의 현황과 전망」, 집문당, 1996.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성종실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정출헌, 『고려가요의 층위와 그 전승양상』, 199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문화사, 2003
퇴계선생전서(속내집) 권 60, 발『서어부가후』, 도산전서 三, p.284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