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

 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
 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2
 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3
 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4
 5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5
 6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6
 7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7
 8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8
 9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9
 10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0
 1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1
 1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2
 1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3
 1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4
 15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5
 16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6
 17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7
 18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8
 19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19
 20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고려가요 속 고려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부 고려가요의 생명력
1. 문제제기
2. 당시의 사회상
3 고려가요가 전해지는 문헌
1) 악학궤범
2) 악장가사
3) 시용향악보
4. 선택된 고려가요
5. 과 의 비교를 통해 보는 고려가요의 생명력

2부 Corea의 국제도시 개경
1. 의 시대
1) 쌍화점의 창작시기
2) 충렬왕을 통해 살펴보는 고려
2. 의 공간
1) 쌍화점의 전체 구조 설명
2) ‘쌍화점’공간 분석
① 쌍화
② 회회아비
③ 삿기 광대
3) 공간 분석의 결론
3. 으로 만나는 국제도시 개경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고려가요

대중성을 가진 고려시대의 속요

의문점

고려가요는 어떻게 지금까지 전승될 수 있었으며, 그 전승방식에는 어떤 특징이 있었을까?

쌍화점 해석


쌍화점에 쌍화를 사러 가니
회회아비가 내 손목을 잡더이다.
이 말이 이 점밖에 드나들면
조그만 소광대 놈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곳같이 허황한 것이 없다.

삼장사에 불을 켜러 가니
그 절 주지가 내 손목을 잡더이다.
이 말이 이 절 밖에 드나들면
조그마한 어린 상좌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곳같이 허황한 데가 없다.

두레우물에 물을 길러 가니
우물의 용이 내 손목을 잡더이다.
이 말이 이 우물 밖에 드나들면
조그만 두레박아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곳같이 허황한 곳이 없다.

술 파는 집에 술 사러 갔더니
그 집 아비 내 손목을 잡더이다.
이 말이 이 집 밖에 드나들면
조그만 바가지야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곳같이 허황한 곳이 없다.


1. 의 시대

삼장(三藏)

삼장사에 등불을 켜러 갔더니
그 절 사주가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말이 절 밖으로 새어나간다면
상좌의 말이라고 이르겠노라.

충렬왕 (1236 ~ 1308) 시대로 추정

즉, 그와 무관하지 않다.


충렬왕의 친원파적 면모
당대 최고의 문화적 요소들을 접했을 것

2. 의 공간

a 장소 b 목적 c 장소에 따른 인물 d 장소에 따른 또 다른 인물

나머지 내용구조는 동일

공간-인물에 대한 고찰필요

① 쌍화

店: 져제 뎜

져 활 파는 店에 가 무르되 … 우리 店에 만일 죠흔 활이 업스면…

만(饅) 상화 만, 상화 투
第七椀(제칠완) 션과 상화와 인졀미와 닭의 알떡과 몽고떡 다 먹어 맛거다
· 상화소에 다 잔 채에 국과 밥이 다 가졌다

만두의 첫 등장:‘어느 사람이 안 주방에 들어가 만두를 취하니 왕이 노하여 도둑이라 하고 곧 명하여 죽였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려사』 세가 권 5
『고려사절요』 권 22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다운샘, 2004.
김명준, 『한국고전시가의 모색』, 보고사, 2008.
김명준 『한국시가문학총서11』「한국고전시가의 모색」, 도서출판 보고사, 2008
국립국악원전통예술진흥회편저, 『악학궤범』, 은하출판사, 1989.
국립국악원전통예술진흥회편저, 『금합자보외 4편』, 은하출판사, 1989.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서긍 저· 조동원외 역,『선화봉사고려도경』, 황소자리, 2003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려가요연구의 현황과 전망」, 집문당, 1996.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성종실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정출헌, 『고려가요의 층위와 그 전승양상』, 199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문화사, 2003
퇴계선생전서(속내집) 권 60, 발『서어부가후』, 도산전서 三, p.284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