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

 1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1
 2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2
 3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3
 4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4
 5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5
 6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6
 7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7
 8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8
 9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9
 10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10
 11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11
 12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암행어사와 조선의 관리 감찰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암행어사를 주제로 정한 목적

2.감찰기관의 변천사
1)감찰기관이란?
2)조선 이전 국가들의 감찰기관
3)조선의 감찰기관

3.조선 특유의 관리 감찰제도 ‘암행어사’
1)암행어사란?
2)암행어사의 필요성
3)암행어사의 선발과정 및 임무
4)암행어사의 출두
5)암행어사의 문제점 및 한계

4. 실록 및 문헌에 나타난 암행어사 이야기
1)엄한 심판자 형
2)협조자, 해결자 형
3)슬기가 부족한자 형
4)수신을 못하고 실수할 뻔한 형
5)대표적인 인물들

5. 사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시대의 감사기관
고려에는 2성 6부의 중앙통치기구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최고 정무기관으로 기능한 것은 2성 가운데 중서문하성이었다. 중서문하성은 재부와 낭사로 구분되었는데 간관의 직임은 낭사에 부여되어 있었다. 낭사에는 산기상시, 간의대부, 보궐, 습유 등의 간관직과 기거사인, 기거랑 등의 사관직, 중서사인, 급사중 등의 판관직이 있었는데 모두 간관의 일을 맡았다.
낭사는 어사대(御史臺)와 함께 대간(臺諫)을 구성하였다. 《고려사》백관지에 보면 국초부터 사헌대가 있었는데 995년(성종 14)에 어사대로 고쳐 대부,중승,시어사,전중시어사,감찰어사 등의 대관을 두었다고 했다. 그 후 어사대는 금오대, 사헌대, 감찰사, 사헌부 등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또한 잡단 등의 관직이 증설되기도 하고 관품, 관원의 수가 증감되기도 했는데 이는 대체로 당, 송 제도를 모방한 것이다.
대관들은 관료들이 입안한 정책이니 국왕의 인사가 잘못되었을 때 이를 제지하여 국가를 바로 세우도록 하였다. 정책비판 못지않게 대관의 중요한 직무로는 서경(署經)이 있었는데 이는 새로 임명되는 관료들의 신원을 조회하는 일이였다. 서경에는 고신서경과 의첩서경으로 두 가지가 있었는데 고신서경(告身署經)은 인사문제에 관한 것이고 의첩서경(依牒署經)은 정책결정에 관한 것이다.
조선의 부정부패 어떻게 막았을까 [이성무 저] 318~326
3)조선의 감찰기관
언론 삼사중 대간으로 불리운 사헌부와 사간원은 고려의 어사대와 중서문하성 낭사의 직능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다만 사헌부 직능 중에는 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풀어주고, 관리의 월권행위를 억제하는 일이 강화되었을 뿐이다. 특히 백성의 억울한 일을 풀어주는 것은 뒤에 나오는 암행어사 제도의 발달과도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한편 홍문관은 원래 궁중의 책들을 관리하고, 국왕이 발행하는 공식문서를 작성하여, 국왕의 고문 역할을 하는 기관이었다. 그러나 1489년(성종20)을 전후해서 언관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으니, 이는 훈구파 관료들의 정치적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서였다. 이들은 대간 탄핵권이 주어졌으며 문벌과 학식이 두루 높은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 있어 공론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일컬어 졌다. 이들은 대간을 지휘 감독하고 때로는 대간과 협동하여 언론에 참여하는 등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언론 삼사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당시 지리상의 문제로 인해 왕은 서울을 비롯한 경기 일부 지방만을 직접 감독하고 그 밖의 지방은 도별로 임명된 감사가 왕을 대리해 수령들을 감시․감독 하였다.
감사는 고려 때 안렴사라 하여 지방수령을 지휘․감독하고 그들의 공과를 파악해 출척(승진, 좌천, 파직)하던 직책이었다.

참고문헌
조선의 암행어사 - 임병준
조선의 부정부패 어떻게 막았을까 - 이성무지음
암행어사란 무엇인가 - 고석규 외 5인
암행어사 이야기(상,하) - 임병준
신 암행어사 - 김영진
조선왕조실록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