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

 1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
 2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2
 3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3
 4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4
 5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5
 6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6
 7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7
 8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8
 9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9
 10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0
 11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1
 12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2
 13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3
 14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4
 15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5
 16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6
 17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7
 18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8
 19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19
 20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정서법]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와 통합 맞춤법에 대한 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글맞춤법」과 「조선말규범집」의 비교
2.1 한글맞춤법과 조선말규범집의 소개와 변천과정
2.1.1 한글맞춤법
2.1.2 조선말규범집
2.2 총칙
2.3 자모 규정
2.4 표기에 관한 것
2.4.1 사이시옷
2.4.2 ‘ㅂ’ 불규칙 ‘-오/우’의 표기
2.4.3 모음 어미의 표기
2.4.4 ‘이(齒, 虱)’의 합성어
2.4.5 준말의 표기
2.5 소리에 관한 것
2.5.1 된소리
2.5.2 한자어 'ㅖ'
2.5.3 이중모음 'ㅢ'
2.5.4 두음법칙
2.6 띄어쓰기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한글맞춤법」과 「조선말규범집」의 비교
2.1 한글맞춤법과 조선말규범집의 소개와 변천과정
2.1.1 한글맞춤법
1930년 12월 13일 조선어학회 총회에서 지명된 12명의 맞춤법 제정 위원은 2년 동안에 걸친 심의를 거듭하여 1931년 12월에 이르러 맞춤법의 원안 작성을 마쳤다. 두 차례의 검토 회의를 거친 다음 1933년 10월 19일에, 안에 모순이 발견될 적에는 언제든지 정정한다는 조건을 붙여「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확정되었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 공포한 뒤 1936년 10월 28일 한글 반포 490회 기념일을 맞이하여 조선어학회에서는「사정한 표준말」의 발표식을 가졌다. 그런데「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공포되어 시행에 들어가자 부분적인 문제점들이 나타나서, 그 뒤에 3차에 걸쳐 수정과 개정을 하게 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그 사이 한글 실용의 보급이 상당히 진전되었기 때문에 1948년 10월 9일에 국한문을 썼던 개정판 전문을 한글로 바꾼 한글판이 나왔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그대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들면서 맞춤법이 언중에게 보다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그 간의 변화 상황을 고려한 수정 작업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문교부가 국어 조사 연구 위원회를 구성하여 표준말과 맞춤법의 수정 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1970년 4월부터 12월 사이에 맞춤법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 및 초안 작성이 이루어졌고 1972년에「개정 한글 맞춤법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시작하여 이 안을 1977년 문교부에 넘겼다. 문교부에서는 이 안의 검토 작업을 시작하여 1979년 12월에 최종 시안을 마련했으나, 제기된 여러 가지 이견에 대한 조정이 어려워 그 확정을 보류했다. 1981년 5월에 문교부가 이 사업을 학술원에 넘기자 학술원에서는 약 4년 동안 검토․보완 작업을 했으나 역시 이견 조정이 어려워 그 확정을 보류했다.
1985년 2월에 학술원이 이 사업을 국어연구소에 넘기고 다시 검토․보완 과정을 거쳐 1987년 9월에 최종안을 문교부에 제출하자 문교부에서는 국어심의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확정하고 1988년 1월 14일,「한글 맞춤법」을 문교부 고시 제88-1호로 공포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맞춤법은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게 되었다.

참고문헌
(고창운, 2000). 남북한 통일 어문규정 시안 마련을 위한 모색, 한말연구 제 6호, 한말연구 학회.
(권인한, 1992). 남북 맞춤법의 비교와 검토, 통일 6호, 민족통일중앙협의회.
(기세관, 최호철, 1994). 남북한의 통일 맞춤법을 위하여, 언어학16, 한국언어학회.
(김민수 편, 2002).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김양진, 2003).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우리어문학회.
(백미애, 2009). 남·북한 맞춤법의 차이점과 그 원인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신창순, 1984).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검토.
(연규동, 1998).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우리어문학회 편, 2003). 남북한 어문규범과 그 통일방안, 국학자교원.
(이희승,안병희, 2008). 새로고친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전수태, 2001). 서로 다른 표기법 통일 방안, 새국어생활 11.
(정훈탁, 2002). 남·북한 언어규범의 비교와 통일 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정훈탁, 2004). 남·북한 맞춤법 비교와 통일 방안.
(최호철, 1988). 북한의 맞춤법, 국어생활, Vol.- No.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