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

 1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
 2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2
 3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3
 4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4
 5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5
 6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6
 7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7
 8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8
 9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9
 10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0
 11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1
 12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2
 13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3
 14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4
 15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5
 16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6
 17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7
 18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8
 19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19
 20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흥미를 유발시키는 시조 교육을 위한 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현 시조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Ⅲ. 흥미 중심 문학교육
Ⅳ. 흥미 중심의 교수학습 설계
Ⅴ. 나가며
본문내용
3) 대중가요와의 접목

시조의 명칭은 ‘시절가조(時節歌調)’에서 나온 것으로 ‘시절가(時節歌)’란 ‘이 시절의 노래’라는 뜻. 명칭이 ‘가락’ 또는 ‘노래’와 연관이 깊은 것은 시조가 본디 노래로 향유되었던 사실과 관계.

시조와 대중가요는 모두 한 시대의 주된 문화층의 양식이었다는 점과 노랫말과 음률의 결합물로, 양자 모두 시와 음악으로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을 지님.

대중가요 중에서도 요즘 아이들에게 친숙하고 주의를 유발할 수 있으면서도 화답시조처럼 두 명 이상의 화자와 청자 간의 대화 형식이 드러난 노래를 접목하여 화답시 수업에 활용.

또한 말의 중의성이나 비슷한 말이나 문장구조의 반복을 사용한 시조의 표현 방식은 요즘 학생들이 즐겨 듣고 부르는 랩(rap)의 가사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이를 연관 짓는 수업도 가능.

▷ 문학의 치유적 성격을 활용하고, 청소년에게 익숙한 매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활동

* 시조를 영상화함으로써 대상과 자신과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그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내면화할 수 있다.

* 자신의 생각을 다른 학습자들과 나누고 교감하면서 과도한 긴장과 학업에 대한 부담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다.

* “시조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이다.”


♧ 시조 형식의 학습을 위해서,
시조와 비슷하지만 대조적인 그 무엇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그 대상이 ‘하이쿠’!!

* 시조 형식
초장․중장․종장의 삼단논법의 구조.
관념적이고 논리적 전개인 이데올로기의 문학
실제의 어휘 빈도수에서도 ‘님’과 같이 이념화한 대상 혹은 있다와 없다, 알다와 모르다와 같은 관념적 언어들이다.

*하이쿠 형식
의미를 배제하고 사물성을 중시
시점-공간-사물의 삼각 구조.






위 시조의 구조는 매미소리와 대응되는 바위가 아니라 꽃․풀 등 변화하는 것과의 대조에서 불변이라는 개념을 끌어낸다. 그 불변의 바위는 사물성 개별성으로서의 물질적 상상력보다는 윤리적 장치로써 등장한다.
참고문헌
김덕현,『시조문학 교육론』,박이정, 2004.
김상진,『16․ 17세기 시조의 동향과 경향』, 국학자료원, 2006.
신웅순,『문학과 사랑』, 문경출판사, 2000.
이어령,『하이쿠의 시학, 하이쿠와 시조로 본 한일문학』, 서정시학, 2009.
Nicholas Mazza,『시 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고영화,「시조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김상진, 「와 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시조와 대중가요의 관계 속에서」, 한국언어문화 제27집, 2005.
류수열,「시조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가능성」,『시조학논총』제28집, 2008.
안은희,「흥미 중심 문학교육의 활용 방안 고찰」,숙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정기철,「새로운 시조 교육을 위한 질문 제시의 기법」,『시조학논총』제30집, 2009.
정기철,「시조 교육의 문제점과 학습자 감상 활동 유형」,『시조학논총』제16집, 2000.
허왕욱,「문학교육으로서의 시조교육」,『시조학논총』제 17집, 2001.
황병익, 「장시조의 연행과 그 문학적 특징 연구」, 부산대 대학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