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

 1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
 2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2
 3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3
 4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4
 5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5
 6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6
 7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7
 8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8
 9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9
 10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0
 11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1
 12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2
 13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3
 14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4
 15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5
 16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사회학] 모성애 실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모성의 정의
2. 모성의 이데올로기와 현실

본 론
1. 모성의 현실-사례
2. 대중매체에 드러난 모성
3. 모성 발현의 변화
4. 시기에 따른 모성의 특징과 그 배경
5. 현대 사회 모성의 문제점

결 론
1. 논점 요약

참 조 문 헌

본문내용
(2) 대중매체에 드러난 모성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이라 할 대중매체 속의 요즘 엄마들은 아이를 죽이기도 하고, 계모들이 생모보다 더 모성적이다. 현실에서는 원정출산을 감행하는 극성엄마들과, 출산율이 세계최저일 만큼 어머니 되기를 거부하는 여성들이 공존한다. 말 그대로 미디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 뉴스가 사회현상을 보도하면서 역으로 사회현상을 일으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드라마가 사회현상을 일으키는 것도 분명 가능한 일이다. 뉴스가 눈에 보이는 사건을 보도하고 특정 관념이나 어휘를 시청자들에게 심어준다고 보면 드라마나 영화는 은연중에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보다 강하게 어떤 관념을 사람들에게 심어준다.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헌신적인 사랑은 여러 영화에서 즐겨 다뤄온 소재 가운데 하나다. 영화에 따라 모성애를 다루는 방식도 여러 가지다. 우선 코끝 찡해지는 가족 휴먼 드라마부터 연상된다. 지금까지 모성애를 다룬 대부분의 한국영화들은 ‘가족멜로’라고 해도 무방하다. 지난 2005년 흥행에서 큰 성공을 거뒀던 이라든가, 2007년 개봉했던 배종옥, 강혜정 주연의 같은 영화가 대표적이다. 자식을 위해서 그야말로 헌신을 아끼지 않는 어머니상이 그려지면서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고 한다. 이런 흐름은 얼마 전 개봉한 독립 영화 같은 작품으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이 작품은 기면증을 앓고 있는 고교생 딸과 그와 함께 살아가는 싱글 맘의 이야기를 잔잔한 호흡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들 세 영화 모두 자식들이 장애인이거나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설정해서 모성애의 크기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1) 모성애 영화의 변화
앞서 말한 작품들이 전통적인 모성애 영화에 속한다면 최근 모성애를 다룬 영화들의 경우엔 심상치 않은 변화의 징후가 발견되고 있다. 첫 번째 변화는 우선 가족멜로 영화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유사 모성애, 즉 친모가 아님에도 모성애적 상황을 펼쳐 놓는 작품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꼽을 수 있다. 2006년 개봉했던 와 2007년 개봉했던 김혜수 주연의 는 유사 모성애라는 접근에서는 일맥상통한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방치된 어린이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가족 이기주의가 팽배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렇게 소외된 어린이들을 따뜻하게 품어주어야 하지 않겠느냐, 하는 사회적인 관심과 사랑을 촉구하는 영화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으로 모성애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최근 또 하나의 뚜렷한 흐름을 엿볼 수 있다. 범죄 누아르라든가, 스릴러 영화를 통해 모성애를 다루는 방식이다. 봉준호 감독의 에서 지적 장애인인 아들이 동네 살인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체포된다. 자신의 아들이 범인이 아니라는 것을 확신하는 어머니는 아들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김혜자가 연기한 영화 속의 어머니는 예의 헌신적이다. 그러나 한 순간 그의 모성애는 헌신을 넘어 섬뜩할 정도의 집착과 광기로 이어진다. 봉준호 감독은 김혜자를 통해 자식에 대한 희생의 차원을 넘어선 모성애, 사회적 통념이나 윤리에 위배될 정도로, 다소 극단적인 모성애를 묘사하고 있지만 그 모습엔 왠지 설득력이 엿보인다. 사실 우리 시대의 모성애에서 그런 측면이 없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내 자식만 살리고 보자”는 한없이 이기적이 돼 버린, 그래서 나와 내 자식 아닌 모든 이들에 대한 어떤 적의까지 느껴지는 왜곡된 어머니성의 살풍경 말이다.
2) ‘그래도 엄마는 엄마’ 보수적인 모성애 강조
시대가 변하고 문화적 분위기가 바뀌는데도 영화에서 엄마 상, 특히 모성애에 대한 접근방식은 실제로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모성애만 강조되고 있다. 엄마의 모습이 드러난 영화들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희생만 하는 엄마, 여성성 거세되고 모성만 강조, 아버지의 부재 등을 지적했다. 에서는 형편이 어려워진 엄마가 이가 아파서 자신의 병원 가는 것은 꺼리면서 큰아들의 보약을 지어온다. 에서 엄마는 자신의 인생이 없이 모든 삶을 발달 장애를 가진 아들을 위해서 살아간다.
참고문헌
1. 강준만.「어머니 수난사」. 인물과 사상사. p248:3~6, p284:5~9, p288:7~12
2. 박혜경. 2009.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25권 3호. p6:16~24. 7:11~16
3. 배은경. 2008.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어머니의 모성경험”. 「페미니즘 연구」. 제8권 1호. 72:9 ~ 73:4. 73:14 ~ 73:22
4. 백진아. 2009. “한국의 가족 변화: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 인식」. 통권107호. p217:17~23
5. 윤택림.「한국의 母性」. 미래인력연구원. p30:8~23. p49:21~49:5. p52:14~53:1. p76:5~10. p91:1~2
6. 이혜경. 2004. “한국내 외국인 가정부 고용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제27권 제2호. p124:4~19
7. 조은. 1998. “모성의 사회적 역사적 구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8년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p241:19 ~ 22
8. 한희정. 2002. 한국 여성 잡지의 모성담론 분석.「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2권 1호. p244:17~25, 231:1~5
9. 홍지아. 2009. “TV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의 서사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11:19~12:7
10. Sistine Madonna. 1513. Raphael. “In Western art and culture, the Madonna has served as a powerful image of ideal motherhood, one of selfless love and devotion”.
11. Oakley, Ann. 1974. “The Sociology Of Housework”. London : Martin Robertson.
12. 윤택림. 2001.「한국의 모성」. 미래인력연구센타.
13. 조형. 2005.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 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반부.
14. 채성주. 2009. 「근대교육 형성기의 모성 담론」. 학지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