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

 1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1
 2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2
 3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3
 4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4
 5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5
 6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6
 7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7
 8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8
 9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9
 10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10
 11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1. 서론
1.1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대한민국
1.2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교육

2.본론
2.1 중앙다문화교육센터
2.1.1 운영조직
2.1.2 운영위원 및 연구원
2.2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교육적 기능 및 역할
2.2.1 다문화교육 연구
2.2.1.1 중앙다문화센터 주요 연구과제 및 사업 실태
2.2.2 다문화 담당 교원 양성 및 다문화 교육 전문가 협의회
2.2.2.1 다문화 담당 교원 양성
2.2.2.2 다문화교육 전문가 협의회

3.결론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총 이혼 현황
학교 중도 탈락률
중앙다문화센터 운영조직
중앙다문화센터 주요과제 및 사업실태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문화’에 대한 관심과 한국사회로 외국인들의 폭발적인 유입은 우리 사회가 다양한 민족들이 조화롭고 평화롭게 사는 사회를 예고하지는 않는다. 그림1 정상호(2009. 9. 8). 다문화가정 정책의 근본 전환을 위한 3대 제안. ≪프레시안≫
은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총 이혼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2005년 이혼숙려제도 부부가 협의이혼을 신청한 뒤 일정 기간이 지나야 법원이 이혼을 허가해주는 제도다. ‘홧김이혼’과 ‘경솔이혼’을 막자는 뜻으로 도입한 제도이다.
의 도입 이후 총 이혼 건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지만 국제결혼의 이혼 건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우리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당연하게도 다문화와 관련된 많은 논의와 활동이 한국사회의 각 영역에서 쏟아져 나왔다. 다문화에 관한 관심은 처음에는 각종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다문화 현장에서 등장했다. 뒤이어 여성계, 노동계, 지방자치단체 등이 다문화 현상에 대해 관심을 보였으며, 각 시도마다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를 지원하는 각종 단체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정부 차원에서는 2006년 4월 ‘결혼 이민자 종합대책’을 시작으로 2006년과 2007년에 ‘다문화가정자녀교육지원대책’을, 2008년에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제정·시행” 최충옥 외 10인,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서울 : 양서원, 2009), p.18
함으로써 정부 차원에서도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1.2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교육

이처럼 최근 우리 사회는 외국인 노동자, 국제결혼 이주자들이 늘어나면서 다인종,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진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다문화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은 다양한 민족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외국인 노동자 가정, 국제결혼 이주자가정, 국적 취득자, 유학생, 새터민 등의 가정을 포함한다.” 최충옥 외 10인, 위의 책, p.91

이러한 인구 구성의 변화는 교육 현장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초·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학생 수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다양성은 취학 연령에 이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점차 증가하게 되면서 교육 현장에도 그대로 반영이 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새로운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참고문헌


최충옥 외 10명 (2009),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외국인 200만명시대’ 내다보고 정책 리모델링해야(2009. 8. 6). ≪조선일보≫
김청연(2009. 5.10). 다문화와 단일문화, 소통하며 ‘윈인’. ≪한겨례신문≫
정상호(2009. 9. 8). 다문화가정 정책의 근본 전환을 위한 3대 제안. ≪프레시안≫
중앙다문화교육센터 http://cmc.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