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

 1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1
 2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2
 3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3
 4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4
 5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5
 6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6
 7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7
 8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8
 9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9
 10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10
 11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11
 12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12
 13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13
 14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들어가며
-고전소설 모티프의 환상적 성격
▣ 본론
1. 예언적 모티프
2. 이인(異人)과 귀신의 출현
3. 연애와 혼사장애
4. 음모의 전형적 모티프
5. 군담(軍談)

▣ 결론 - 나가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들어가며

모든 소설들은 과거와 현재를 막론하고 무수히 많은 다른 텍스트들과 서로 교섭하면서 창작된다. 특히 독창성과 유형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고전소설은 창작 당시에 존재했던 여타의 텍스트들과 대단히 밀접한 영향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또 우리 고전소설의 대부분이 중국을 배경으로 창작되었기 때문에 중국소설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음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한편의 소설을 구성하는 모티프들은 대단히 다양한 형성 경로를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성격 또한 다양하다. 한편, 고전소설은 대개 환상적 허구를 통한 우회적 방법으로 현실을 환기시킨다. 천상적 질서와 지상적 질서를 병치시켜 놓았기 때문에 현실 공간을 읽을 때도 실제로 살고 있는 현실세계가 직선적으로 환기되지는 않는다. 고전 소설의 현실은 그 근저에 항상 환상성이 매개되어 있지만 독자들은 소설적 공간과 실제 현실을 혼동하지 않는다. 소설적 공간 속에서 독자들은 대리만족의 즐거움을 누리지만 소설 밖으로 나오면 그들은 참담한 현실을 다시 느끼게 된다. 이 인식론적 구조를 두고 환상적 허구를 통한 리얼리즘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소설을 구성하는 모티프의 가장 중요한 특질은 환상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때로는 괴상하다고 생각되는 환상적 모티프들이 고전소설의 독특한 미학적 원리이자 정신사적 합의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표조는 고전 소설을 이루고 있는 모티프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 본론

1. 예언적 모티프 ‘모티프(Motif, Motive)'란 어원상으로는 운동의 근원적인 원인, 예술에서는 창작이나 표현의 기본적인 동기를 의미하지만, 문학에 국한하여 통용되는 일반적인 의미는 문학텍스트에 자주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정한 요소- 가장 작은 서사적 단위, 낱말, 문구, 사건, 기법, 공식-를 가리킨다(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6,138면


고전소설은 지상과 천상의 이원 구도 속에서 서사가 진행되는 만큼 지상에서 벌어질 일들이 미리 예고되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의 운명을 암시하는 가장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모티프로 적강(謫降 : 신선이 인간세계에 내려오거나 사람으로 태어남), 신물(信物), 꿈 등을 들 수가 있다.
적강 모티프는 『금오신화』나 「최척전」과 같은 17세기 이전의 한문소설을 제외한다면, 고전소설의 주인공이 대체로 하늘나라에서 옥황상제에게 죄를 지어 지상으로 내려와 인간으로 태어나는 형식으로 설정된다. 「유충렬전」에서는 주인공인 유충렬이 청룡을 다스리는 하늘의 선관으로 무도한 익성(翼星)과 다투다가 지상으로 추방된다. 주인공이 적강한 존재라는 사실은 대개 태몽으로 암시되며 주인공의 출생과정은 신비스러운 장면으로 연출된다. “한 꿈을 얻으매 천상으로 오운이 영롱한 중에 일위선관이 청룡을 타고 내려와 소자는 천상자미원 대장성 차지한 일위선관이옵더니…백옥루 잔치시에 익성과 대전한 후로 상죄께 득죄하야 인간에 내치심에 갈바를 모르더니 남악한 신령이 부인댁으로 지시하기로 왔사오니 부인은 애휼하옵소서…하고 부인품에 달려들거늘 놀라 깨달으니 일장춘몽 황홀하다.” (, 완판 86장, 『영인고소설판각본전집』 2권,)
영웅신화의 보편적 구조라고 할 수 있는 ‘영웅의 일대기’가 주인공의 신이한 출생과정을 담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소설의 적강 모티프는 신화에서 비롯된 서사의 원형 가운데 하나라고 할 것이다.
영웅소설에서 곧바로 주인공의 적강이 제시되는 것은 아니며, 늦도록 자식이 없어서 한탄하다가 기자치성(祈子致誠) 임신과 출산에 대한 생리학적인 지식이 부재했던 조선시대에는 한 생명의 출생이 신의 점지에 의해서 비롯된 것이며 여기에 정령의 힘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고대의 신화에서 신화 주인공의 탄생과정이 잘반영해주고 있는데, 영웅소설의 출생담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특히 조선조의 소설에서는 유교 이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식을 통한 후사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으며, 태몽은 이의 필요성을 적절하게 수용하여 태몽을 통해 앞으로 태어날 주인공의 인물됨과 능력까지를 예비해 주고 있다.(안기수, 꿈의 형상화 방법과 서사기능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 196)
이후에 잉태, 태몽, 출산의 서사 과정을 거쳐 적강의 주인공이 태어난다.
참고문헌
이상택 외, 한국 고전 소설의 세계
송성욱,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서사문법과 창작의식 태학사, 2003
송성욱, 한국 대하소설의 미학, 월인,
송성욱,
송성욱,
서강여성연구회, 한국 문학의 환상성 , 2001
구운몽
정인영, 연구 : 가문소설, 군담소설,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2003
윤보윤, 「재생서사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의 비교 연구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2007
한길연, 개용단
영웅소설의 이념과 형식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제이앤씨, 2008.
장효현,「한국 고전소설 비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古典文學硏究』, 韓國古典文學會 ,2001.
이혜숙,「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論文集』,혜전대학, 1997.
김경남, 「군담소설의 전쟁 소재와 욕망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建國語文學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 1997.
김창현,「제2장 서사와 극, 서정의 장르 성격 구현 양상」, 『한국적 장르론과 장르보편성』.
한길연, 「대하소설의 요약(妖藥)모티프 연구」,『고소설연구』25, 韓國古小說學會 , 2008.
, 완판 86장, 『영인고소설판각본전집』 2권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6.
안기수, 꿈의 형상화 방법과 서사기능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