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1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1
 2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2
 3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3
 4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4
 5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5
 6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Ⅰ. 서론
- 소설속 모티프의 성격
Ⅱ. 본론
- 예언적 모티프
- 음모의 전형적 모티프
- 연애와 혼사장애 모티프
- 이인과 귀신의 출현 모티프
- 군담 모티프
Ⅲ. 결론
* 참고문헌
Ⅰ. 서론
- 소설 속 모티프의 성격
소설은 다른 텍스트들(이를 테면 당시 소설부터 역사서와 경서류 등)과 교섭하기도 하고 동시에 영향 받기도 한다. 고대사회의 문학예술에서는 개인적인 재능이나 체험보다는 집단적인 사회의식이 보다 중요한 작품 모티프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의) 표현이나 창작의 동기, 또는 동기가 되는 중심 사상. 모티브. 창작에서는 우선 소재(題材)가 있고 이것이 주제(主題)에 부합되게 플롯을 구성하여 작품이 완성된다. 작자는 소재로부터 주제를 얻었을 때 작자의 내부에 표현하려는 창작 의욕이 생긴다. 이와 같은 내부충동이 모티프이다. 네이버 사전
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개인보다는 공동체가 우선되는 사회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때 주로 용이나 거북의 변신, 신선의 등장, 이인(異人)의 언참(言讖)과 거기에 따른 징험(徵驗), 사자(死者)와의 대화, 죽음과 재생 등의 모습들로 공동체를 표현한다. 이상택, 『한국 고전 소설의 이론 I』, 새문사, 2003, p.63
이렇듯 다양한 역할을 하는 모티프는 창작 연대가 앞서는 중국소설의 영향을 많이 받아 「양류사」라는 시가 직접적으로 인용되기도 했고, 중국이 많은 소설들의 배경으로 쓰이기도 했다. 그래서 독자에겐 소설을 읽는 것이 상상의 세계를 방문하는 것이었고, 그 것 자체가 일종의 환상을 탐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다양한 모티프를 통한 환상성이 소설의 근저에 항상 매개되어있어 소설과 현실사이의 거리를 극렬히 유지하고, 독자가 소설적 공간과 실제현실을 구분하며 실제 현실과의 괴리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동시에 대리만족도 느끼게 되므로 이는 환상적 허구를 통한 리얼리즘의 실현인 것이다. 이렇듯 환상성은 고전소설 모티프의 중요한 속성이다. 환상성은 자칫 현실과는 전혀 상관없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현실과 초현실간의 끊임없는 대치속에서 오히려 역설적으로 현실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 것은 공상만 추구하는 소설의 미숙성이라기보다 고전소설의 미학적 특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현대 소설에서 까지도 끊임없이 제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Ⅱ. 본론
- 예언적 모티프
고전소설은 주로 지상과 천상을 넘나들며 진행되는 만큼 이인에 의한 예언이나 적강, 신물, 꿈 등으로 앞으로의 소설내용이 암시되기도 한다.
적강 모티프는 주인공이 주로 천상적 존재로 신분의 비범함을 강조하고, 지상으로 추방당해 태몽을 통한 신이한 출생과정을 풀어놓는다. 이것은 앞으로 벌어질 복선 구실도 하는데 「유충렬전」에서는 유심과 그의 부인이 자식이 없어 한탄하다가 남악형산에 치성을 드려 태몽을 꾼 뒤 주인공 유충렬이 태어났다. 그렇지만 같이 싸운 익성도 정한담으로 적강하여 천상에서의 일이 지상으로 이어질 것임을 암시하기도 했다.
「구운몽」에서는 천정연의 의미를 적강모티프로 표현하기도 했다. 팔선녀와 양소유 사이의 관계에서 현실과 꿈, 또 현실로 돌아오는 모든 과정에서 그들의 만남은 이미 하늘에서 정한 만남이었다. 이것은 고전소설의 특징 중의 하나로 모든 것이 결과 지어져 있는 그 궤도 안에서 따라간다는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