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

 1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1
 2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2
 3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3
 4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4
 5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5
 6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6
 7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7
 8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8
 9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9
 10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10
 11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11
 12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12
 13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13
 14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근현대사] 고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한제국의 모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답사개요

2. 답사 일정표

3. 고종 관련 학계연구방향

4. 대한제국 성립 배경

5. 광무개혁 내용

6. 광무개혁의 성과와 한계

7. 답사 후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4. 대한제국 성립 배경
대한제국 성립의 배경은 먼저 고종이 대한제국을 성립하기까지 당시 나라안팎의 상황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대한제국 시기는 아관파천이란 사건 이후로 형성되는 데 이 사건은 1896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게 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배경을 가지고 있다. 청일전쟁이후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에 대한 배타적 지배권을 확립하고 요동반도, 대만 등의 영토를 넘겨받아 대륙으로 진출할 수 있는 유리한 발판을 마련한다. 그러나 일본이 요동반도를 점령한 것은 만주를 통해서 남으로 진출하려던 제정 러시아의 이해와 정면충돌 했다. 이에 러시아는 독일과 프랑스를 끌어들여, 요동반도를 청에게 돌려 줄 것 등을 요구하면서 일본에 압력을 넣는 등 이른바 '삼국간섭'이 이루어진다. 이때 나라 안의 상황은 민씨 일파 등이 삼국간섭을 계기로 러시아와 손잡기 시작한다. 그러자 일본은 약화된 지위를 만회하려고 1895년 8월 왕후 민씨를 살해하는 만행을 저지른다. 이른바 을미사변이라고 한다. 또한 일본은 조선의 국모를 시해하는 사건뿐만 아니라 전국에 단발령을 내리는데 이러한 사건들은 일제에 대한 조선인들의 분노를 부추기게 하였고, 이어 조선 양반유생들 주도하에 당시 친일 갑오정권을 반대하는 을미의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대내외적 상황 하에, 고종은 신변에 불안을 느꼈으며, 때마침 반일감정이 높아진 틈을 타 러시아는 1896년 2월 이범진, 이완용 등 친러파와 손을 잡고 고종과 그 일행을 자신들의 공사관으로 피신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아관파천이다. 그 결과 친일 개화파 정권이 무너지고 친러 개화파 정권이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고종의 아관파천 뒤 조선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지자, 고종의 환궁과 자주독립을 바라는 여론이 들끓었다. 이러한 여론을 등에 업고 고종은 1897년 2월 러시아 공사관에서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으로 옮기게 된다. 이로부터 6개월 뒤 연호를 광무로 정하고 현재의 웨스틴 조선호텔 자리인 원구단에서 1897년 10월 12일 조선의 26대 국왕 고종이 하늘의 신에게 고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는 의식을 행한다. 그리고 정부에서는 국호를 대한으로 개정하여 내외에 선포한다. 그 결과 마침내 대한제국이 탄생하게 된다. 이렇게 성립된 대한제국정부는 '옛것을 근본으로 하고 새로운 것을 참작한다.'는 구본신참의 원칙을 세워 개혁을 펼쳐 나간다. 일본에 기대어 개혁을 급격하게 단행한 갑오적원의 방식을 반성하고, 주체적으로 서양의 법과 제도를 수용하여 점진적으로 개혁을 하려고 한 것이다.
참고문헌
8. 참고문헌
『한국사』42 대한제국, 국사편찬위원회, 1999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역사학연구소, 서해문집, 2004
『서울대학교 한국사연구총서 16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서영희,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고종황제 역사 청문회』, 교수신문, 푸른 역사, 2006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한림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푸른 역사, 2008
『고종 대 정치변동 연구』, 연갑수, 일지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