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

 1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1
 2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2
 3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3
 4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4
 5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5
 6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6
 7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7
 8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8
 9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9
 10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10
 11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11
 12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12
 13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13
 14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 인간교육] 양심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양심의 의미

1) 양심의 개념

2) 양심의 정의

3. 양심의 기능과 종류

1) 양심의 기능

(1) 완전성을 위한 노력

(2) 내적 증인 기능

(3) 행동의 규범으로서의 기능

(4) 공동체(사회) 유지의 기능

(5) 심판의 기능

(6) 판단 기능

2) 양심의 종류

(1) 착한 양심

(2) 악한 양심과 마비된 양심

(3) 약한 양심과 혼미한 양심

(4) 더럽혀진 양심과 이완된 양심

4. 양심의 도덕의식

1) 실천이성비판을 통해 살펴본 양심의 도덕의식


2) 하나님으로부터 발로 된 양심

5. 신앙과 양심

1) 타락 이후의 양심 : 중생되지 못한 자의 양심

2) 그리스도의 구속 이후의 양심 : 중생한 자의 양심

3) 중생한 자의 양심의 성장

6.기독교 교육의 과제로서의 양심교육

1)양심교육의 필요성

2)양심교육의 가능성

결론


본문내용
(4) 더럽혀진 양심과 이완된 양심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 및 양심의 인도를 거부하면 양심은 더럽혀지고 타락하게 된다. 바울은 “깨끗한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깨끗하나 더럽고 믿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는 아무것도 깨끗한 것이 없고 오직 저희 마음과 양심이 더러운지라(디도서1:15)”라고 기록했다. 이런 상태에서 양심은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타락한 모습을 보일 것이다. 더럽혀졌다는 말은 깨끗한 것과 불결한 것이 섞여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더럽혀진 양심과 마비된 양심은 유사하다. 그러나 마비된 양심은 완전히 무감각한데 비해, 더럽혀진 양심은 옳은 것과 그른 것이 서로 섞여 있어 우리를 잘못 인도한다.

4. 양심의 도덕의식

1) 실천이성비판을 통해 살펴본 양심의 도덕의식

우리는「실천이성비판」서문에서 18c 임마누엘 칸트가 남긴 다음과 같은 유명한 명언을 보게 된다. “생각 할수록 불가사의하고 두려움을 느끼는 것 두 가지가 내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하나는 내 머리 위에 있는 수많은 반짝이는 저 하늘이며 또 하나는 내 마음 속에 있는 도덕률이다.” 칸트는 밤하늘에 떠있는 ‘반짝이는 별’을 바라보며 우주의 질서를 발견하게 되었고 우주에 질서가 있다는 사실에서 두려움을 느꼈다. 또한 인간에게 양심이 있어 그것을 바탕으로 도덕이 성립되고, 인간이 다른 존재들과 구별되는 도덕적 존재로 된다는 사실은 칸트를 놀라게 했다.
칸트는 위의 놀라움에 대하여 두 가지 이성을 통하여 답한다. 그는 첫 번째 놀라움에 대한 답으로 순수이성의 비판을, 두 번째 놀라움은 실천이성의 비판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칸트가 동일한 이성임에도 구분하여 양심을 설명한 것은 양심이 자애(自愛)를 떠나 행위 하도록 명령하는 의지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영식, 「서양철학사의 이해」,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p.312-21
다시 말해 양심은 직관을 통한 시공간적 파악과 오감의 범주를 통해 얻어지는 경험적인 의지가 아니라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의무감인 선의지에 입각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칸트는 순수 이성에 의해 정초되는 선의지로서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것의 범주 속에서 양심을 실천적 의식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이성은 경험세계의 행동을 정초하는 기준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의 실천적 주체는 양심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심에 인식과 판단의 선험적 논리 구조가 결여되었다거나 모두 이성에게 귀속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양심은 신으로부터 선험적으로 공유된 도덕적 자각과 인식과 판단이 수납되고 반응되며 실천될 수 있도록 하는 힘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성과 양심이 모두 논리 구조를 가지고 인식과 판단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도덕적 당위성과 선택의 압력의 범위로 양심이 기능해야 함에 의문을 표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한 결론부터 말하면 도덕적 의식으로 양심의 범주가 사용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양심과 이성의 몇 가지 특징만 살펴보아도 명확하다. 먼저, 이성은 자신의 합리적 논리 구조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반면 양심은 도덕에 대한 선험적인 자각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성은 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