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

 1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1
 2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2
 3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3
 4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4
 5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5
 6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6
 7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7
 8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8
 9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삼국사기`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성과 역사성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학성과 역사성의 정의
Ⅱ - 1. 문학성의 정의
Ⅱ - 2. 역사성의 정의

Ⅲ. 소개 및 문학성과 역사성 재고
Ⅲ - 1. 삼국사기란?
Ⅲ - 1 - 1. 「김유신전」중 구토지설
Ⅲ - 1 - 2. 솔거
Ⅲ - 2. 삼국사기의 문학성
Ⅲ - 3. 삼국사기의 역사성

Ⅳ. 소개의 및 문학성과 역사성 재고
Ⅳ - 1. 삼국유사란?
Ⅳ - 1 - 0. 삼국사기와 비교
Ⅳ - 1 - 1. 조신전
Ⅳ - 1 - 2. 「수로부인」중 헌화가
Ⅳ - 1 - 3. 석탈해 신화
Ⅳ - 2. 삼국유사의 문학성
Ⅳ - 3. 삼국유사의 역사성

Ⅴ. 열전, 의 문학적, 역사적 가치 재고
Ⅴ - 1.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의 문학적 가치 재고
Ⅴ - 2.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의 역사적 가치 재고

Ⅵ. 결론

본문내용
솔거는 미천한 집안 출신으로 그 조상을 알 수 없다. 선천적으로 그림에 뛰어났으며, 황룡사 벽에 그린 노송이 실물과 같아 새들이 날아들었다 부딪혀 죽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 일화에 의하면, 훗날 노송도의 색이 바래져 황룡사의 절이 고쳐 그리자, 새들이 다시는 오지 않았다고 한다.
Ⅲ - 1 - 2. 솔거





솔거(率居)는 신라 때의 화가이다. 많은 작품이 있었다 하나 전하여지지 않는다.
이렇게 삼국사기에는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만 짧게 언급 하는 경우가 많다.

Ⅲ - 2. 삼국사기 열전의 문학성
앞에서 삼국사기 열전을 대표한다고도 할수 있는 김유신전의 일부와 인물 솔거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이 외에도 아주 많은 이야기들이 실려 있고 구토지설도 김유신전 중 아주 일부에 불과하다. 실제 삼국사기 열전 안에는 문학성이라고 할만한 예술성을 띠고 있는 것들이 아주 많다.
첫째, 열전의 경우 한 인물을 축에 놓고 중요한 사건이 기승전결의 일정한 서사적 맥락을 이루며 구성되므로 이로 인해 거울로서 역사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한 편의 문학적 가치마저 지닌다.
둘째, 이야기들을 떠받치고 있는 선인들의 풍부한 상상력이 가져다 주는 경이로움과 감동이 크고 깊다. 인간-자연-우주를 함께 아우르는 그들의 자유로운 상상력 그 자체만으로도 예술성을 충분히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후대 전해질만한 역사적 인물들의 행적을 통해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교훈성이라는 면에서 또다른 문학적 가치를 지닌 것이다.
넷째, 이후의 문학에 (특히 조선시대) 크나큰 영향을 주게 된다.
우리가 이번에 집중한 문학성을 대표적으로 이 세가지를 꼽았지만 그 외에도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아주 많은 곳에서 예술적 가치를 느낄수 있는 부분이 충분히 많은 것을 알수 있다. 특히 삼국사기 열전은 단순 사실을 기록한 사서가 아닌 서사적 맥락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이므로 역사성 위주로 평가하는 삼국사기 열전이 아닌 조금더 많은 연구를 통해 문학성을 바탕으로 삼국사기 열전을 재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Ⅲ-3. 삼국사기 열전의 역사성
삼국사기 열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역사적 가치는 굉장히 많을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역사성을 ‘그 작품이 실제로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기록하였는가?’ 하는 점과 ‘그 작품이 당시의 생활 모습을 정확하게 보여주는가?’ 점에서 살펴 볼수 있다.
첫째, 글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한문 수입하여 쓴 이후 완벽하게 소화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당시 세계는 곧 중국이었다. 그 당시 고려사회는 세계에서 통하는 학자를 배출해 내기 시작한 것을 보여준다.
둘째, 본격적인 역사서로서 사실상 처음이자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사서이다. 이는 이후 역사서 편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예철해 ( Cheol Hae Ye ), 「연구논문 :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一然)의 역사의식이 갖는 한국교육사적 의의」,한국종교교육학회(종교교육학연구, 2007), pf. 233.

박성규, 「삼국유사의 체제와 문학사적 의의」, 시안사(시안 제10권, 2000. 12), p. 2.

고운기, 「삼국사기 열전」, 현암사 (2005. 1).

진경환 외, 「신화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의 문학」, 웅진 (1998).

이어령, 「이어령의 삼국유사 이야기」, 서정시학 (2006. 12),

일연,「삼국유사」, 타임기획 (2005).

고운기,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현암사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