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

 1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1
 2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2
 3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3
 4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4
 5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5
 6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6
 7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개론] 세계의 모순과 풍자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풍자란 무엇인가
1. 풍자
2. 풍자의 성향
3. 풍자의 성립 조건
4. 풍자와 해학의 비교

II. 연암 박지원과 풍자
1. 풍자의 토대
2. 풍자의 전략

III. 판소리계 풍자소설
1. 판소리 문학의 민중 의식
2. 판소리계 풍자 소설에 드러난 풍자

IV. 결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III. 판소리계 풍자소설
판소리 문학은 봉건체제가 해체되어가던 조선 후기의 역동적인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판소리 문학은 부정과 긍정의 양 측면을 가지면서 복잡다단한 역사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판소리계 문학에서의 풍자는 민중들의 현실인식과 그에 토대를 둔 민중들의 변혁 요구를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표현수단으로 사용되었다.

1. 판소리 문학의 민중 의식
1) 봉건체제의 모순과 해결의 전망
역사현실에 대한 민중들의 변혁 욕구를 상정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봉건 체제나 이념에 대한 비판과 그 해결의 전망이라고 할 수 있다.
* : 용왕은 병 중에서도 미색과 풍류로 밤을 지샌다는 것을 통해 봉건체제가 썩을 대로 썩었다는 것을 나타냄. 또한 토끼의 간을 구해올 신하를 찾는 대목에서도 모두가 발뺌을 하며 진정한 충신이 없다는 것을 드러냄.
* : 부패한 지방관의 전형으로서 변학도를 등장시킴. 춘향에 대한 수청 강요 역시 민중수탈의 한 양상으로 인식되며, 춘향의 수청 거부는 한 인격체로서 자신을 보호하는 것 뿐 아니라 부패한 봉건권력에 대한 항거.

2) 신분해방의 의지
봉건체제의 붕괴는 민중들이 신분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고 자기 자신을 한 인격체로서 자각하며 세계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 : 기생 신분에서 명문가의 부녀로의 신분상승보다, 자기 신분으로부터의 해방이 더 중점적임. 양반의 노리개가 아닌 인격을 가진 한 여자로서 자신이 스스로 배우자를 선택함. 즉, 춘향이 중시한 것은 ‘열(烈)’이 아니라 자신의 인간적 권리임.
참고문헌
- 권순긍(2005). 고전 소설의 풍자와 미학. 박이정
- 김은정(2010). 연암 박지원의 풍자 정치학. 한국학술정보㈜
- 이동환(1998). 연암의 사유방식. 한국한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