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

 1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1
 2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2
 3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3
 4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4
 5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5
 6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6
 7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7
 8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8
 9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9
 10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10
 11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11
 12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12
 13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13
 14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동리 일생, 김동리 인간관, 김동리 세계관, 김동리 작품특성,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등신불 작품분석, 김동리 바위, 무녀도 작품분석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동리의 일생

Ⅲ. 김동리의 인간관

Ⅳ. 김동리의 세계관

Ⅴ. 김동리의 작품특성

Ⅵ.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 작품분석
1. 작품의 제작 배경과 동기
2. 신인간주의의 배경

Ⅶ. 김동리의 등신불 작품분석

Ⅷ. 김동리의 바위 작품분석

Ⅸ. 김동리의 무녀도 작품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김동리 소설을 읽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작품의 많은 부분이 민속적이고 토착적인 소재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 나타난 황토색 짙은 이러한 소재와 풍경이 지니고 있는 참된 뜻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난 복잡한 상진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왜 그가 이러한 소재를 선택했어야만 했는가의 문제를 밝히는데서 출발해야만 하겠다.
조연현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김동리 문학을 이해하는 데는 일제 말기의 현실적 절망감과 압박감을 잊지 말아야 된다.’고 말한 것처럼, 그가 민속적인 색체가 짙은 작품을 쓰게 된 것은 ‘당시 일제 속에서 얼어붙은 민족의 혼’을 불러일으키기 위함이었다. 다시 말하면 그는 묻혀진 민족의 얼을 일깨우기 위해서 민족의 고유한 것과 전통적인 것을 찾게 되고 마침내는 토속적인 풍속과 신화, 그리고 종교 이전의 민족정신의 토양이라고 할 수 있는 샤머니즘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그가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한 민속적인 소재로 시선을 돌려 잃어버린 민족의 혼을 복원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은 샤머니즘이 ‘집단 무의식’에 뿌리를 둔 민족 신화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실존적인 요소 때문이다. 현대 심층 심리학자 융은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요소와 신화, 그리고 원시 종교는 그 기원을 ‘개인 무의식’ 아래 있는 ‘집단 무의식’에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총체적인 표현이며 조각품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면 샤머니즘에서 말하는 이른바 신령님이란 것도 집단 무의식에 대한 하나의 표현이라 말할 수 있겠다. 그런데 작가는 일종의 예술의 사제로서 전통적이고 상징과 언어를 통해서 민족이란 집단을 하나로 묶고 있는 공통적인 무의식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징과 언어는 심리를 변형시킬 수 있는 메카니즘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사용한 샤머니즘을 비롯한 민속적인 소재가 나타난 실존적인 색채와 경향은 일제 말기와 6․25동란 후의 우리 민족이 겪었던 절망감과 압박감을 표현함은 물론 그것을 극복하려는 갈등 의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데 훌륭한 수단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동리 - 한국대표명작, 문예총서 11권, 지학사
김동리(1940) - 나의 소설수업, 문장
김동리(1995) - 바위, 동아출판사
김동리(1997) - 전집 8권, 나를 찾아서
서재원 - 황순원과 김동리 소설 비교 연구, 한국어문교육8, 고려대 국어교육학회
천영숙(1991) - 김동리 작품의 구조분석적 연구, 교원대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