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

 1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1
 2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2
 3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3
 4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4
 5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5
 6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6
 7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7
 8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8
 9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순화(우리말순화)정의,중요성, 국어순화(우리말순화)태도,대상, 국어순화(우리말순화)문제점, 국어순화(우리말순화)사례, 국어순화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정의

Ⅲ.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중요성

Ⅳ.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태도

Ⅴ.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대상
1. 잘못된 발음
2. 잘못된 어휘
3. 잘못된 문장
4. 어휘와 의미의 혼란
5. 언어 상황에 맞지 않는 표현
6. 잘못된 정서법(맞춤법)

Ⅵ.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문제점

Ⅶ.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사례

Ⅷ. 향후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방안
1. 국어 정책을 바르게 편다
2. 언론 기관이 모범을 보인다
3. 국어 교육을 바르게 한다
4. 철학과 문학을 넓고 깊게 발전시킨다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국어 순화론자들은 언어에 대한 이해의 폭이 좁다는 것은 특히 ‘국어 순화’의 정의를 통해서 더 명백해진다. 한 국어 정책 연구가는 국어 순화를 “국어가 국어답도록 국어의 품위를 회복하고 개발하는 일”로 정의한다. 다시 말해 “비어, 속어, 욕설 대신 곱고 아름다운 말을 쓰고, 이상한 강세나 무분별한 사투리나 거짓말 대신 바르고 믿음직한 말을 쓰는 일”이나 “국어의 표준화 작업, 외래어 및 어려운 한자말을 곱고 세련되고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쓰는 일”이 바로 국어의 품위를 회복하는 일이자 국어 순화라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는 관념적인 접근법이기 이전에 언어 현상 사태들을 너무 안이하게 판단하는 것에 기초한다. 다시 말해 다중들의 언어가 표현되고 소통되는 삶의 복잡한 현장이나 정서를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명랑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말을 순화해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삶의 복잡한 현장이나 정서를 무시하고 관념적으로 국어를 순화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언어의 생태적 속성 자체를 무시하는 태도이거니와 표현하고 소통해야 할 다중의 삶의 진실을 ‘순화’(왜곡, 은폐 등의 효과)하는 태도이다. 다시 말해 언어라는 것은 욕망의 표출이기도 하고 정치적인 것이기도 하고 권력 관계가 구성되는 것이기도 하고 이데올로기를 실어 나르는 것이기도 한데, 국어 순화론은 그 언어적 생태 속성을 모두 제거해 버린다. 그랬을 때 남은 것은 무엇인가. 삶과 동떨어진 껍데기뿐이며, 삶을 억압하는 또 하나의 허구적 이데올로기이다. 국어 순화 운동 이론가들은 이런 정치적 배경에는 전혀 관심이 없이 오로지 ‘국어 순화’라는 면만을 전체화하려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최현배에 이어 한글학회를 주도하던 허웅은 고운 말, 바른말, 쉬운 말 쓰기로 국어 순화를 정의하였으며, 김석득은 “순화(純化, 醇化)란 잡것을 걸러 순수하게 하는 일이요,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어 순화는 잡것으로 알려진 들어온 말(외래어)과 외국말을 가능한 한 우리 토박이말로 재정리한다는 것이요, 비속한 말과 틀린 말을 고운 말과 표준 발음, 표준말, 표준 말본으로 바르게 하자는 것이다. 또한 그것은 복잡한 것으로 알려진 어려운 말을 쉬운 말로 고치는 일도 된다.”고 정의했다. 이러한 정의들은 국어 순화론의 원조를 이루어 왔으며, 실질적으로 정치와 언어 혹은 삶과 언어를 분리하는 순수주의적 접근에 불과하다. 국어 순화론은 사회 언어학적 측면이나 인류학적인 측면 혹은 문화론적 측면들을 배제해 왔다. 국어순화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국어순화추진회(1989), 우리말 순화의 어제와 오늘, 미래문화사
고길섶(2005), 국어 순화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국어 순화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학술 대회, 국립국어원
권혁채 외(1993), 국어 순화는 실천입니다 외, 한글새소식 252, 한글학회
민현식(2001), 국어 순화의 회고와 전망, 남북 언어학자 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이은정 편(1991), 국어 순화 자료집, 국어문화사
이남호, 국어순화는 국어 풍요가 되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