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

 1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1
 2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2
 3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3
 4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4
 5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5
 6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6
 7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7
 8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8
 9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9
 10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10
 11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미,필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내용,방해요인,문제점, 우리말순화(국어순화)방법,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의미

Ⅲ.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필요성
1. 말은 이루어 내는 힘을 가진 존재이다
2. 말은 그 민족의 세계상을 담는다
3. 말은 외부세계와 의식세계를 이어주는 중간세계이며 통로이다

Ⅳ.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역사

Ⅴ.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내용

Ⅵ.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방해요인

Ⅶ.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문제점

Ⅷ.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방법
1. 소리는 분명하고 아름답고 쉬워야 한다
2. 낱말은 싱싱하고 풍부하게 써야 한다
1) 쉬운 밑말을 재료로 새 말을 만들어 쓰는 길이다
2) 낱말과 낱말을 새롭게 어울려 쓰는 일이다
3) 이미 쓰이는 말에 새 뜻을 담아 쓰거나 우리식 숙어를 만들어 쓰는 길이다
4) 외국말을 함부로 쓰지 말고 이미 우리말 속에 들어와 쓰이고 있는 외국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는 길이다
3. 짜임은 조직적으로 쉽게 해야 한다
1) 영어식 짜임의 말을 쓰는 일을 고쳐야 한다
2) 자기 자신도 남으로 생각하며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의 말을 피한다
4. 소리와 사물을 결합시켜야 한다

Ⅸ. 우리말순화(국어순화) 관련 제언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영국은 14세기에, 프랑스는 16세기에, 독일은 17세기 초에서부터 벌써 그들 국어의 앞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쏟아 왔다. 로마 글자라는 훌륭한 소리글자를 바탕으로 그들 말을 줄기차게 발전시킴으로써 훌륭한 문화를 이룩해 나온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훌륭한 말과 글을 두고도 한자만을 받들어 쓰면서 남의 나라 말만 부지런히 끌어들여 썼기 때문에 우리말글이 힘 펴지 못했던 것이다. 우리말, 글처럼 칭찬을 많이 받는 것도 없을 것이며, 또 심한 푸대접을 받는 것도 없을 것이다. 칭찬하면서도 푸대접하면서, 푸대접하면서도 칭찬하는 우리의 묘한 이중성격, 여기서 우리 약점의 모든 비밀이 숨어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우리말을 발전시키는 첫째의 길은 `자기 존중`을 바탕으로 우리말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가짐이다. 다음으로 말에 대한 감각이 곧 삶에 대한 감각임을 깨닫고 섬세하고 아름다운 감각으로 우리말을 가다듬어 써야 한다. 그러면 자연히 우리말은 쉬운 세 말이 자꾸 만들어져 어휘가 풍부해지고, 말의 소리가 아름답고 뜻이 높아지고 깊어질 것이며, 말뜻, 말맛, 말의 짜임이 바르게 될 것이다.
우리 겨레는 이제부터라도 우리말 바로잡는 운동을 펴야 한다. 우리말 사전을 곁에 두고 우리말을 다듬는 이들이 몇인가 묻고 싶다. 우리 것은 몰라도 좋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남 것 모르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님을 깨달아야 할 때다. 우리 것 모르는 이가 남 것 안다고 으스대니 정말 부끄럽다. 이제라도 우리 것 챙기는 일을 시나브로 시작해 보자.
참고문헌
박갑수(1997), 법률 문장 순화돼야 한다, 새국어생활 7-4, 국립국어연구원
송철의(1998),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대책, 새국어생활 8권 2호
유만근(1991), 국어 순화를 위한 외래어 귀화 정책론, 국어교육월보
이수열(1995), 국어 사전과 국어 순화, 새국어생활 10
한재영(2005), 국어 순화, 왜 필요한가?, 국어 순화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학술 대회, 국립국어원
허철구(1992), 국어 순화 자료집, 국립 국어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