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

 1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1
 2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2
 3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3
 4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4
 5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5
 6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6
 7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7
 8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8
 9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9
 10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10
 11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순화][우리말순화]국어순화(우리말순화)필요성,대상,태도,내용, 외국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국어순화(우리말순화)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필요성

Ⅲ.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대상

Ⅳ.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태도

Ⅴ.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내용

Ⅵ. 외국의 자국어순화(언어순화) 사례
1. 영국(BBC)
1) 개괄
2) 기구
3) 영향력
4) 현황
2. 일본(NHK)
1) 개괄
2) 기구
3) 현황

Ⅶ. 향후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방향
1. 순화 언어의 생명력
2. 국어 순화의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국어 순화든 말 다듬기든 그 대상은 한자어, 일본어투 용어, 외래어투(서구의 외래어와 외국어를 포함한 개념) 용어이며, 그 명목은 우리 고유어를 잘 살려 씀으로써 민족적 자부심과 긍지를 갖도록 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우리말을 이루고 있는 것은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이다. 이 중에서 한자어는 우리말 속에서 이미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어려운 한자어가 아니면 남한에서는 국어 순화 대상에서 제외하였고 북한에서는 1949년부터 한자 폐지 정책을 펼치면서 많은 한자어를 고유어로 고쳐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일본어투 용어는 남북한이 모두 반드시 고쳐 써야 할 순화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일본어투 용어는 우리말과 자연스럽게 정상적으로 접촉하면서 외래어로 자리를 잡은 것이 아니고 일제 강점기에 어쩔 수 없이 배웠던 통치자의 언어이었으므로 8·15 광복 이후에 지금까지 순화의 대상이 되어 왔다. 또한, 외래어투 용어는 외국 문화, 외국 문물과의 접촉에서 생겨나는데, 다과의 차이는 있으나 세계 어느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외래어투 용어는 남북한이 수용하는 정도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데 남한은 외래어로 인정하려는 정도가 강한 반면에 북한에서는 가능한 한 고유어로 고쳐 쓰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것이 다 그렇듯이 언어도 외래 요소가 너무 많으면 그 본래의 생명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원활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외래 요소의 범람은 그것을 사용하는 민족의 정신을 흐리게 할 수도 있다. 이리하여 19세기 이후 여러 나라에서 자기 언어 속의 외래 요소를 적절히 제한해야 한다는 생각이 생겼고, 이것을 실천하기 위한 운동이 각국에서 일어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고길섶(2005) / 국어 순화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국어 순화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학술 대회,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연구원(1991~2002) / 국어 순화 자료집
송철의(1998) /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 대책, 새국어생활8-2호, 국립국어연구원
이기문(1972) / 국어순화와 외래어 문제, 어문연구
이수열(1995) / 국어 사전과 국어 순화, 새국어생활 10
최용기(2002) / 국어 순화 자료집, 국립국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