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

 1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1
 2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2
 3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3
 4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4
 5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5
 6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6
 7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7
 8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8
 9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9
 10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10
 11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순화(국어순화)실태, 북한 우리말순화(국어순화)사례, 우리말순화(국어순화)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역사
1. 8·15 광복 이후부터 1959년까지
2. 1960년부터 1969년까지
3. 1970년부터 1989년까지

Ⅲ.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목적

Ⅳ.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대상
1. 순일본어
2. 일본식 한자어
3. 일본식 외래어
4. 어려운 한자어(고사성어)
5. 외국어(영어)
6. 분야별 용어
1) 건설용어
2) 미술용어
3) 봉제용어
4) 선거․정치 용어
5) 식생활 용어
6) 신문제작 용어
7) 임업 용어

Ⅴ.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위기

Ⅵ.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실태

Ⅶ. 북한의 우리말순화(국어순화) 사례

Ⅷ. 향후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과제
1. 순화 작업 준비 단계
2. 순화 작업 및 보급 단계
3. 순화 작업 확인 단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국어는 항상 ‘오염’되어 있었다. 우리말 도로 찾기가 한창이던 해방 공간에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그리고 국어 순화 운동이 번졌던 1970년대와 1980년대, ‘오염’되지 않은 날은 하루도 없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국어의 위기는 항상 존재해 왔다. 그 성격과 내용과 형태를 달리하면서 말이다. 어쩌면 ‘오염’이라고 정의하는 것 자체가 문제인지도 모른다. 바꿔 말해, ‘오염’이 아니라, 지식인들이건 대중이건 지배 계급이건 민중이건 각각의 사람이건, 개인이나 집단의 정서, 입장, 지위, 환경에 따라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강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하나의 삶의 전략에 오히려 가깝다. 거기에는 사용 논리와 의미 체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면서 언어적인 권력 관계를 형성한다. 예컨대 과자류에서 하나같이 외국말 투성이인 것은 상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말이 거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바로 그러한 사용 논리와 관련하여 외국어와의 경합 관계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치들이 존재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언어 상의 문제만이 아님은 이미 계속해서 말해 왔다.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미학적, 감성적, 이데올로기적 여러 층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중은 그러한 흐름 속에서 언어의 사용을 욕망하고 전략화한다. 거기에는 특정한 정서와 감정 구조가 개입하며 진솔한 표현이 흐른다. 하지만 거기에는 반드시 ‘우리말’이어야 하는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언어란 이미 ‘우리말’이라는 경계를 넘어 언어 일반으로서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문제인 것은 대중들의 언어적 사용 욕망과 전략을 방해하고, 배제하고, 억압하고, 멸시하고, 관념화하는 지배 집단의 지배 전략에 있다. 국어 순화론자들과 역대의 집권자들이 수행한 국어 순화 운동이 바로 그 지위에 있었다.
참고문헌
박갑수(1984) / 국어의 표현과 순화론, 지학사
이윤표(1991) / 북한의 국어 순화사,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2, 녹진
이익섭(2004) / 국어학 개설, 학연사
이석주·이주행 / 국어학개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한재영(2005) / 국어 순화, 왜 필요한가?, 국어 순화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학술 대회, 국립국어원
허철구(2001) / 국어 순화, 국어문화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