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

 1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1
 2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2
 3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3
 4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4
 5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5
 6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6
 7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7
 8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논술에 대한 생각
 2. 논술의 개념
 3. 대입평가 도구로서 통합 교과 논술 시험의 적절성
  3.1 대입 평가 도구로서의 통합 교과 논술의 신뢰도
  3.2 대입 평가 도구로서의 통합 교과 논술의 타당도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논술이 사교육을 조장한다, 혹은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모두의 의견이 일치했다. 학생, 학부모, 교사는 그것이 당연하다고 이야기했다. 반면 출제위원과 대학총장은 그런 비판에 많이 직면해왔기에 그것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 주체들이 대체로 논술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출제위원과 대학총장은 논술이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말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논술이 사교육을 조장하는 구실을 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막겠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논술이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것이 우리나라 논술에 있어서 핵심적인 문제일까? 사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논술 시험을 잘 볼 수 없도록 장치를 완벽하게 해놓는 게 가능할까? 또 그게 좋은 것일까? 어느 쪽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논술학원 강사의 말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이제는 사교육이 예전처럼 모범답안을 외우라고 가르치지 않는다. 진정한 사고력을 길러주려고 나름대로 애쓰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방향은 논술을 통해 얻으려고 하는 목적과도 일치하지 않는가? 논술에 있어서 사교육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대로 논술 교육에 대한 수요를 사교육시장이 채우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면 또 그것도 아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먼저 논술의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논술 개념

글쓰기로서 논술 : 예로부터 논술은 지적 활동으로써, 언론 활동으로써, 그리고 인재를 등용하는 방식으로써, 교양인들의 삶에 필수적인 조건이었다. 논술은 글쓰기의 한 장르이며, 그 목적이 필자가 자신과 생각이 다른 독자를 설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쓰는 글쓰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논술은 필자의 목소리와 합리적인 논리,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설득이라는 세 가지를 바탕으로 개념정의가 되어야 한다.
논리로서의 논술: 논술이 곧 논리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대학에서의 논술 시험도 1998학년도부터는 예전의 시사적, 생활 경험적 논제들을 지양하고, 보편적 주제의 고전지문을 주고 이 주제를 현대 사회에 적용할 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따지도록 하는 자료 제시형 ‘고정 논술’ 형식으로 진화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논술의 개념영역 안에 비판적 읽기 능력의 개념을 추가함으로써, 논술이란 “비판적 읽기와 창의적 문제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4),「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
-박순영(1997), ⌜대입 논술고사의 방향은 어디로⌟, 철학과 현실
-박정하(2006), ⌜논술교육의 방향: 통합교과형 논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지은림(2000) ⌜논술형 수행평가를 위한 채점방법들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