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

 1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
 2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2
 3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3
 4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4
 5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5
 6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6
 7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7
 8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8
 9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9
 10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0
 11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1
 12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2
 13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3
 14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4
 15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5
 16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교육론] 교과서 작품 속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모호성
1. 모호성(Ambiguity)의 정의
2. 모호성의 발생원인
3. 모호성에 관한 논의
4. 모호성의 유형과 실례

Ⅱ. 객관적 상관물
1. 메타언어에 대해
2. 객관적 상관물 (客觀的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의 정의
3. 객관적 상관물의 유형
4.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의 차이

Ⅲ. 학교 교육에서의 모호성과 객관적 상관물
1. 교육과정 분석
2. 교과서에 실린 모호성이 드러나는 작품의 예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3) 문법적 모호성

문법적 모호성은 그 구조와 형태에 따라 의미와 해석이 다양해 질 수 있는 문장의 특성과 깊은 관련을 갖게 된다. 같은 형태의 문장일지라도 어떤 어휘가 문맥상 어느 위치에 놓이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리질 수 있다.


a. 아침 식탁의 반쯤 피어 있는 하얀 장미가 어울려요 (하얀 장미가 어울려요)
b. 아침 식탁은 하얀 장미가 반쯤 피어 있어야 어울려요. (아침 식탁은 어울려요)
c. 하얀 장미가 반쯤 피어 있어야 어울리는 아침 식탁이어요. (아침 식탁이어요)
d. 아침 식탁에 어울리도록 하얀 장미가 반쯤 피어 있어요.(하얀 장미는 반쯤 피어 있어요)
e. 반쯤 피어 어울리는 하얀 장미의 아침 식탁이 있어요.(아침 식탁이 있어요)



문법적 애매성은 흔히 산문의 경우 잘 나타나게 되며 어색하게 표현되거나 불명확한 문장에서 많이 발견하게 된다. 또한 의도적으로 애매한 표현을 구사하지 않을 경우에도 문법적으로 애매 하게 나타난 의미나, 적절하지 않은 정서의 표현, 혹은 문법상의 성립이 불가능한 표현을 쓸 수 있는 위험이 있다.

① 어휘나 문구가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해석의 다양성을 요구할 때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生涯)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그저 방울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傷心)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서진다.

- 박인환 의 일부- 《시작(詩作)》, 1955.10.


【분석】 시의 세계는 비논리적이다. 한 행 한 행 이해가 될지라도 연결하면 그 의미가 무척 애매모호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럴 경우의 애매성은 시인이 애초에 표현하고자 했던 관념 이 제대로 표현하고자 했던 관념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을 때 생겨난다.

삶은 계란 껍질이
벗겨지듯
묵은 사랑이
벗겨질 때
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다는 것이다


먼지앉은 석경너머로
너의그림자가
움직이듯
묵은 사랑이
움직일 때
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곽차섭 외 13인,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3-문학상(上)』, 휴머니스트, 2006.
구상, 『현대시창작입문』, 홍성사, 2006.
김상옥, 《문장》, 1939.10 -『중학 국어 1-2』, 교육과학기술부.
김소월, 『접동새 : 다시 읽는 김소월 19』, 맑은소리, 2001.
김수영, 『눈』, 1956. - 『문학(상)』,민중서림.
김우정, 『태풍기와 불안의 시선』, 세대, 1965.
김은전, 『한국 현대시 탐구』, 태학사, 1996.
박두진,『해』, 1949. - 『중학 국어 1-2』, 교육과학기술부.
박명용, 『현대시 창작방법』, 국학자료원, 1999.
박철희, 『현대시의 바벨탑: 난해성에 대하여』, 자유문학, 1961.
유종호, 『시를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문학, 1999.
윤여탁, 『시교육론 : 시의 소통 구조와 감상』, 태학사, 1996.
윤여탁 외,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 태학사, 2002.
윤지영, 『한국현대시의 주체와 담론』, 2006.
이상, 「오감도 시 제1호」, 1934. - 『문학(하)』, 디딤돌.
이숭원, 『교과서 시 정본 해설』, 휴먼&북스, 2008.
이숭원 외 26인 지음, 『시(詩)의 아포리아를 넘어서』, 이룸, 2001.
이향아, 『詩의 이론과 실제』, 청아출판사, 2001.
전봉건, 「시인과 독자의 광장: 시의 이해와 감상의 제일조건』, 자유문학, 1957.
정지용, 『향수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깊은샘, 1994.
최미숙 외,『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9.
James Gribble, 나병철 역, 『문학교육론』, 문예출판사, 1983.

『문학(상)』, 금성출판사.

임갑, 「언어, 문학, 정치」, 1966.
장일우, 『현대시의 음미:그 난해성에 대한 고찰』.

《문학예술》, 1957.4.
《시작(詩作)》, 1955.10, 세대, 1966.
《조선일보》, 1936.10.6
《조선 중앙일보》, 1934

사이트
http://blog.naver.com/mukungdong/20014865845
http://blog.naver.com/kmicarus/10013404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