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

 1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1
 2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2
 3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3
 4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4
 5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5
 6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6
 7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7
 8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8
 9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9
 10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햄릿 근대 주체의 구성에 대한 에세이 -라캉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2. 공간과 햄릿-주체의 구성

2.1. 중세적 상징계, 엘시노어

2.2. 유령의 출몰과 상징계의 균열

3. 인물과 햄릿-주체

3.1. 클로디우스와 햄릿

3.2. 숭고한 여성과 햄릿

4. 나오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2. 유령의 출몰과 상징계의 균열
한국의 아랑전설을 보면, 새로 부임하는 부사들마다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그 죽음의 원인은 다름 아닌 억울한 죽음을 당한 아랑의 혼령 때문이다. 원래 멀쩡해 보였던 상징계의 질서들은, 이렇게 유령이 출몰하기 시작하면서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그 유령은 누구에게나 유효한 것이 아니라, 상징계의 질서를 완전히 내파 할 수 있는 주체에게만 의미가 있다. 그렇기에 무능한 부사들은 모두 죽음을 당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사만이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유령의 출몰은 공고한 질서의 균열을 보여주는 문학적 원형이기도 한 것이다.
에 나타나는 아버지의 유령도 이와 매우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령의 출몰은 햄릿이라는 근대적 주체에 의해 중세적 상징계인 엘시노어가 내파되는 과정이 시작함을 지시하는 것이다. 게다가 햄릿을 제외한 다른 인물들은 유령에게 말을 걸지도 못하며, 심지어는 인식하지도 못한다. 유령이 등장했을 때 마셀러스는 햄릿과 유사한 근대적 주체로 보이는 학자 호레이쇼에게 “Thou art a scholar. Speak to it, Horatio. (1.1. 52)”라고 말한다. 그러나 유령은 역시 대답하지 않는다. 유령은 다만 햄릿이 직접 등장했을 때 햄릿에게 손짓을 함으로써, 오직 햄릿과만 대화할 수 있다는 의지를 표현한다. 이러한 유령의 특성은 햄릿이 거트루드와 대화하는 장면에서 그것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다.

Queen To whom do you speak this?
Hamlet Do you see nothing there?
Queen Nothing at all; yet all that is I see
(…중략…)
Queen This is the very coinage of your brain.
This bodiless creation ecstasy
Is very cunning in.

가장 중세적인 여왕의 눈에는 유령은 아예 ‘보이지도’ 않는다. 아예 인식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심지어 여왕은 아예 햄릿을 광기가 있다는 식으로 몰아붙이기까지 한다. 오직 근대적 주체만이(호레이쇼, 마셀러스, 바나도 등) 유
참고문헌
5. 참고문헌


Alan Durband, 『Hamlet』, New York :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1986
그레이엄 앨런, 『문제적 텍스트 롤랑/ 바르트』, 송은영 역, 서울: 앨피, 2006
니콜라스 로일,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 오문석 역, 서울: 앨피, 2006
숀 호머, 『라캉읽기』, 김서영 역, 서울: 은행나무, 2006
슬라보예 지젝,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 하나이다』, 박정수 역, 서울: 인간사랑, 2004
슬라보예 지젝, 『까다로운 주체』, 이성민 역, 서울: 도서출판 b, 2005
슬라보예 지젝, 『향락의 전이』, 이만우 역, 서울: 인간사랑, 2001, p. 211
슬라보예 지젝, 『How to Read 라캉』, 박정수 역,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2007
토니 마이어스,『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박정수 역, 서울: 앨피, 2006


Michel Foucault. "What Is an Author?" Twentieth-Century Literary Theory. Ed. Vassilis Lambropoulos and David Neal Miller. Albany: State University Press of New York, 1987
Sara Salih&Judith Butler, 「Melancholy Gender/Refused Identity(1997)」,『The Judith Butler Reader』, Malden: Blackwell Publshing, 2004


http://mh.cla.umn.edu/ebibjd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