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

 1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
 2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2
 3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3
 4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4
 5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5
 6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6
 7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7
 8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8
 9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9
 10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0
 11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1
 12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2
 13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3
 14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4
 15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5
 16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6
 17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7
 18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8
 19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19
 20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문학사] 원시고대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 - 원시, 고대 문학의 의미와 가치 부여

2.고대의 사회상과 건국 서사시 성립의 관계 양상

3.건국 신화의 특징 분석
탐라국 건국 서사시를 중심으로

4.고대 가요 - 구지가, 황조가, 공무도하가

5. 結 – 정리

본문내용
삼성신화는 탐라(제주도)의 개국시조 신화



삼신인(三神人) - 고을라(高乙那), 양을라(良乙那), 부을라(夫乙那)



삼공주(삼여신)



문헌들간의 미묘한 차이점들이 존재.




1. ,에는 장자가 고을라.
에는 양을라가 장자



2. 삼신인과 결혼한 공주
동해 벽랑국의 임금의 세 딸
일본국왕의 세 딸


고구려 건국 신화에서 주몽이 皇天과 后土에게 빌고 활로 강물을 쳐서 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만들도록 한 것과, 송양과의 대결에서 활로써 승부하여 승리한 점, 이 두 화소는 주몽이 ‘하늘의 뜻을 묻고 활로써 그 능력을 인정받음’이라는 공통된 의미이다.

특히 뒤의 화소는 ‘천손으로서의 권능’을 인정받고 더불어 고구려의 소유권을 인정받는다는 내용이다.

삼성신화의 ‘사시복지’의 의미를 주몽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살핀다면, 활을 쏘아 하늘의 뜻을 묻고 거주지를 정한다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즉 ‘활로써 하늘의 뜻을 묻고 그 소유권을 인정받음’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일본 신화에서는 활을 쏘는 행위는 신에게 정성을 바치는 행위이며, 신에게 충성을 다한다는 맹서의 행위로 나타난다.

①의 경우 백수광부가 물에 빠지는 모습과 허리에 찬 술병을 통해 주신(酒神)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백수광부를 디오뉘소스적으로, 그의 아내를 님프로서 이해
공무도하가의 설화를 일종의 신화로 보는 관점

②의 경우 백수광부는 국가무당이 되지 못 해 자신의 권위를 실추
'없을 무(無)' 의 해석의 관점
저물어가는 신화의 시대에 무당으로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것

③은 당시 한나라가 고조선에 설치했다는 한사군과 관련하여 이해 가능
역사적 사건을 토대로 백수광부를 반란에 가담했던 인물로 봄
백수에 광부라는 모습은 그의 불안과 고뇌에 대한 적절한 묘사로 이해

④의 경우는 이를 남녀 간의 애정사로 보는 것이다.

-> 이상 ③,④의 견해는 앞의 ①,②에 비하여 보다 서정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는 견해이다. 주제가 신령에서 인간으로, 군주에서 서민으로 돌아왔으며  창자가 집단에서 개인으로 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