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

 1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
 2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2
 3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3
 4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4
 5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5
 6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6
 7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7
 8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8
 9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9
 10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0
 11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1
 12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2
 13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3
 14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4
 15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5
 16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6
 17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7
 18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8
 19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19
 20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성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미디어가 현대사회 성(性) 문화에 미치는 영향

1)미디어와 섹스
2)매스미디어와 성문화와의 관계
3)인터넷 보급에 따른 새로운 성 풍속도
4)미디어에서 성의 심리학적 영향

2. 긍정적인 측면

1)미디어를 통한 성교육
2)미디어를 통한 성범죄 예방
3)미디어를 통한 성에 대한 인식 변화
4)긍정적인 효과
5)성에 대한 긍정적 시선 고취

3. 부정적인 측면

1) TV 비춰진 성
2)인쇄매체에 비춰진 성
3)영화에 비춰진 성
4)케이블/위성에 비춰진 성
5)미디어 속의 성이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

4.결론
본문내용
(2)연구 증거
몇 편의 연구는 비폭력적이면서 노골적인 섹스물에 노출된 결과로 형성된 성에 대한 태도나 가치에 대한 효과들을 밝혀 주었다. 즉 아름다운 알몸의 여성이 성행위를 하고 있는 슬라이드와 영화를 본 뒤에, 남성 피 실험자들은 그들의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졌을 때, 성적 만족감이 감소되지는 않았지만, 파트너가 육체적으로 열등하다고 평가했다. 매주 노골적인 섹스 영화를 보여주고 1주에서 3주 후에 검사를 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했을 때, Zillmann과 Bryant는 영화를 본 실험 집단이 영화를 보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 입을 사용한 성교나, 변태 성욕, 수간과 같은 성행위들이 대중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과대평가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여러 사건의 발생 빈도를 추론할 때, 해당 사건의 사례를 얼마나 쉽게 찾을 수 있는가에 의해서 판단하게 되는 이른바 인지적 ‘가용성의 길잡이’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미디어에서 본 생생한 사례들은 시청자로 하여금 실제 세계에서 그런 성행위의 발생 빈도를 과대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 실제 현실과는 어긋난 지각된 현실을 구성하게 한다.
1982, 1984년에 Zillmann과 Bryant은 실제 사람들의 태도에 미치는 지각된 현실의 효과를 발견했다. 노골적인 섹스 영화를 본 사람들은 통제 집단과 비교했을 때, 애정, 육체적 외형, 성적 호기심, 그리고 실생활에서 파트너와의 성관계에서 덜 만족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또 감정이 없는 성행위를 통제 집단보다 더 중요한 것을 간주했다. 또한 섹스물을 본 사람들은 결혼 전, 그리고 혼외 섹스를 더 용납할 수 있고 결혼과 일부일처제를 낮게 평가하였다. 그들은 또한 아이를 갖으려는 욕망이 적었으며 남성 우위와 여성의 종속에 대해 더 관대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남녀 사이나 학생과 비 학생 신분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미디어 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Dermer와 Pyszczynski는 피 실험자들에게 어떤 여성의 성적 환상에 대한 외설적인 문장을 ‘읽기’전에 그들의 파트너에 관해 생각하도록 했다. 그 결과, 피 실험자들은 그 문장을 읽은 뒤에 그들의 파트너를 보다 성적으로 매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 연구가 앞의 Zillmann과 Bryant의 연구 결과와 차이가 난 이유는, 이 연구의 특수한 연구 절차 때문이거나 미디어 간의 심리적 차이 때문일 것이다. 인쇄매체에 영상없이 문자로만 성이 묘사되었을 때는 자신의 파트너에 대해 환상적으로 보는데 보다 도움이 되는 반면, 영상화된 성은 자신의 파트너에 대해 불리한 비교를 하게 할 수 있다.

3)카타르시스
미디어 섹스의 또 다른 효과로 주장되는 것이 카타르시스(승화 또는 정화)인데, 이것은 성격의 정신역학 모델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감정의 배출을 지칭한다. 섹스에 적용시켜 볼 때, 카타르시스관점이란, 미디어에서 섹스물을 보게 되면, 잡지나 비디오를 일종의 대체물로 사용함으로써, 그 사람의 성적 충동이 해소될 것이라고 보는 주장이다. 카타르시스적인 주장은 노골적인 섹스물에 대한 제재를 완화시켜야 한다는 호소를 뒷받침하는 자유주의자들에 의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