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

 1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
 2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2
 3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3
 4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4
 5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5
 6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6
 7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7
 8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8
 9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9
 10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0
 11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1
 12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2
 13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3
 14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4
 15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5
 16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심리학] 댓글을 통한 태도형성과 의사결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연구문제 및 목적

2. 연구 가설

1) 긍정적인 댓글 수의 증가에 따른 긍정적 태도 형성관계

2) 비교 대상의 긍정 댓글이 증가 와 태도변화

3)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증가 와 태도형성관계

4) 자기 관령성에 따른 긍정적 태도 변화

3.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

4. 그 외 가외변인

1) 개인차

2) 익명성

방 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설계

결 과

1. 기술 통계

2. 독립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3. 해당 제품(A사)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논 의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3.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

‘피험자가 지각한 특정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의 수가 많을수록 해당제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다. 여기에서 ‘피험자가 지각한 특정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의 수’를 독립변수로 조작하였고, ‘특정제품(블루온)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형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 때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의 수(독립변인)는 제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본다. 긍정적인 댓글의 수가 2, 4, 6 그리고 8개 일 때, 일정 이상의 긍정적인 댓글의 수가 존재 하였을 때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 된다는 것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피험자가 지각한 특정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의 수(독립변인)와 해당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종속변인)이라는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변인 간의 관계에서 다른 변인의 상관으로 인한 허위관계가 발생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 두변인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허위 관계인 Simpson's paradox를 방지하기 하기 위하여 그 외의 가외변인과 종속변인과의 관계 또한 살펴 보았다.
그 외에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외변인에는 자기관련도와 댓글에 대한 신뢰성, 댓글을 단 사람에 대한 지각된 전문성이 있다. 자기관련도가 어느 정도 이상치의 피험자는 댓글의 수에 따른 긍정적 태도의 변화의 관계, 댓글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피험자와의 종속변인의 관계, 댓글을 단 사람에 대한 지각된 전문성과 종속변인의 관계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을 하였다.

4. 그 외 가외변인

1) 개인차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수에 묻혀서 편안한 마음을 갖기 원한다. 이런 몰개인화는 사람들이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김영석,정일권(2006).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 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4), 302-327.
김은미, 이준웅(2006).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50(4), 65-94.
김봉준(2007), '온라인에서의 제품 평가정보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리뷰기사와 소비자 댓글의 구전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은영(2006).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2(1), 93~127.
나은경∙이준웅(2008). 댓글 문화 연구(온라인 뉴스 이용 양태의 변화와 담론 공중의 의미). 한국언론재단.
리대룡, 배은주(1994), 라디오 커머셜의 배경음악 효과,『광고연구』, 22(1), 315-339.
선유화(2006), '포털 뉴스의 댓글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광자 외, 「현대사회심리학」, 2002, 아세아문화사
이민영,이재신(2008) 댓글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 구원
차배근(1974). 한국 매스컴 수용자들의 피설득성향에 관한 비교문화권적 실험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11, 113-151.
차배근(1989) 설득커뮤니케이션이론:실증적 연구입장.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최영 (2002). 온라인 신문에서의 시민저널리즘 가능성 연구. 일상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언 론학보, 46(6), 33-63.
한규석(2007), 사회심리학의 이해 제8판, 학지사
한덕웅 외(2005), 사회심리학, 학지사
한혜경(2003). 인터넷 이용자의 여론기각과 의견 표현: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의 비교. 한국 언론정보학보, 23, 189-222.
홍성열(2008), 사회심리학 , 시그마프레스
Asch, S. E. (1951). Effects of group pressure upon the modification and distortion of judgement. In H. Guetzkow (ed.) Groups, leadership and men. Pittsburgh, PA: Carnegie Press
Asch, S. E. (1956). Studies of independence and conformity: A minority of one against a unanimous majority. Psychological Monographs, 70 (Whole no. 416)
Gass, R. H. & Seiter J. S. (1999) Persuasion, social influence, and compliance gaining. Boston, Ma: Allyn and Bacon.
Hovland, Carl I., Irving K. Janis, and Harold Kelly(1953),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Kai Sassenberg & Margarete Boos (2003). Attitude Change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ffects of Anonymity and Category Norms. Group Processes Intergroup Relations October, 6(4), 405-422.
Mutz, D.(1998) Impersonal influence. Cambridge,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g, W. J. (2002).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New York: Routledge.
Petty, Harkins & Williams (1980). The effects of group diffusion of cognitive effort on attitudes : An information-processing view.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81-92.
Richard T. Stantee & Susan E. Jackson(1982). Identity Implications of Conformity: Sex Differences in Normative and Attributional Judgment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5(2), 121-125.
Rosenberg(1962). Persuasibility in personality and cultur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