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

 1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1
 2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2
 3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3
 4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4
 5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5
 6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6
 7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7
 8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8
 9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9
 10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10
 11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11
 12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12
 13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13
 14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상의 이해] 조선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時代的 背景
2.發端
3.退溪 李滉의 人物性論
4.內容과 展開
5.修養論 및 차이점
6.意義
본문내용

理通氣局說의 입장에서 人物性을 해석

性은 理와 氣의 合, 理가 氣속에 있어야 性이 됨

理는 독립적으로 性이 될 수 없음

人物性을 다른 것으로 파악


박세당,『思辨錄』: 인물성이 다른 이유 해석

권상하와 김창협이 조목별 검토, 인물성동이론 쟁점 대두

권상하 문하의 한원진, 이간 등의 참여로 인물성동이론 논쟁 확대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중 어느 쪽을 性의 개념으로 볼 것인가

五常을 짐승도 가지고 있는가
감정의 발동(未發) 이전에 氣質의 善惡이 있는가

『孟子』의 生之爲性 -> 人物性異
『中庸』의 天命之謂性 章 -> 人物性同


본격적인 湖洛論爭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은 그들의 스승인 권상하가 한원진의 손을 들어주며 일단락

朴弼周, 魚有鳳, 李縡 등의 서울 경기 노론 학자들이 관심 가지면서 논쟁 본격화

1746. 이재의 와 이에 대한 응답인 한원진의 이후로 논쟁은 감정적인 대립으로도 비화되는 양상

학문적 논쟁을 넘어 정치적인 영역으로 진입

각 지역의 학문으로서 고착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