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

 1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1
 2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2
 3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3
 4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4
 5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5
 6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6
 7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7
 8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8
 9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9
 10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별곡의 긍정적 표현 연구 -`동동`, `쌍화점`, `정석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Ⅱ-1. 긍정적 표현 - 「동동」을 중심으로
-(1) 긍정적인 주제의 긍정적 표현 양상
-(2) 부정적인 주제의 긍정적 표현 양상
-(3) 유사한 내용의 현대가요와 「동동」비교
Ⅱ-2. 긍정적 주제와 긍정적 표현 - 「쌍화점」,「정석가」를 중심으로
Ⅱ-3. 긍정적 주제 - 「사모곡」을 중심으로
Ⅲ. 결론
본문내용
(2) 부정적인 주제의 긍정적 표현 양상

이 부분들은 화자의 부정적인 심리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부정적인 내용을 긍정적 표현으로 나타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실제로 살펴본 결과 그 수가 매우 적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긍정적인 표현이 일부분 사용되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 것은 다음과 같다.
4월령의 ‘오실셔’의 주체는 임이 아니라 꾀꼬리이다. 임은 오시지 않는데 꾀꼬리는 잊지 않고 화자를 찾아온다. ‘꾀꼬리’는 임과 상반되는 시어로 임의 부재를 강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엄밀하게 따진다면 내용상으로는 부정적이다. 그러나 꾀꼬리가 ‘나’에게 ‘온다’는 단어 자체만으로 본다면 긍정적인 표현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6월령의 ‘젹곰 좃니노다’도 긍정적인 표현으로 볼 수 있다. 6월령은 화자를 버리고 가시는 임이 돌아보신다면 잠시나마 따르겠다는 내용으로 부정적인 면모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잠시 동안이라도 임과 함께 하고 싶은 화자의 소망이 발현되는 시어라는 측면에서 넓은 의미로 해석해본다면 긍정적 표현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동동」의 전체적인 주제가 ‘임의 부재와 그에 따른 그리움’이라고 본다면 부정적인 정서와 태도를 가지고 있는 시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임을 송축하거나 임의 건강함을 기원하는 부분, 또는 임과의 재회를 희망하는 태도도 드러난다. 이러한 부분에서 긍정적인 내용과 표현을 찾을 수 있었고,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연에서도 일부분은 긍정적인 표현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3) 유사한 내용의 현대가요와 「동동」비교

「동동」의 임을 송축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유사한 내용의 현대가요를 찾아보았다. 사랑하는 임이 ‘나’의 눈에는 얼마나 아름다운지 노래하는 것은 「동동」과 다음의 현대가요에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