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

 1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1
 2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2
 3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3
 4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4
 5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5
 6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국사교과][국사과평가]국사과(국사교육)의 수업 목표, 국사과(국사교육)의 수업 원칙과 국사과평가(국사교육평가)의 목표, 국사과평가(국사교육평가)의 현안 및 향후 국사과평가(국사교육평가)의 개선 과제 분석
  •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의 목표,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의 방법과 절차,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의 문제점,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의 개선방안,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 방향
  • [서술식평가, 논술식평가] 서술형평가(논술형평가)의 필요성, 서술형평가(논술형평가)의 특징과 서술형평가(논술형평가)의 방식, 서술형평가(논술형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 및 가정교과 서술형평가(논술형평가) 분석
  • [국어교과수행평가][국어교육]국어과 수행평가의 배경, 국어과 수행평가의 전제와 국어과 수행평가의 방법, 국어과 수행평가의 쟁점 및 국어과 수행평가의 문제점 해결대책 그리고 향후 국어과 수행평가의 방향 분석
  • [국어과 수행평가][수행평가]수행평가 개념,장단점, 국어과 수행평가 실시분야,기본방향, 국어과 수행평가 시행과제, 국어과 수행평가 제고방안
  • [대학입학] 대학입시제도의 시대적배경과 02년도 수능의 문제점 및 보안책
  • [교직] 대학 입학 수능 제도의 문제점 및 방안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교육환경조성,교수학습방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평가,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문제점, 초등학교 영어교육 개선방안
  • [성취기준과 평가기준]국어과교육, 수학과교육, 사회과교육, 음악과교육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활용 방안
  • [평가기준]국어과교육 평가기준, 영어과교육 평가기준, 공통사회과교육 평가기준, 공통과학과교육 평가기준, 체육과교육 평가기준
  • 소개글
    [성취기준][평가기준][등급화방안]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등급화방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성취기준
    1. 성취기준의 성격 규명과 이해
    2. 성취기준의 개발 방법
    1)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
    2) 성취기준 진술 방법 및 상세화 수준
    3) 성취기준의 진술 형태
    4) ‘학습활동의 예’의 제시

    Ⅲ. 평가기준

    Ⅳ. 등급화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국가나 교육청에서는 학교 교육이 지향해야 할 교육목표를 명료하게 제시하고,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학교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교육관계자 뿐만 아니라 학부모를 비롯한 일반인들이 학교 교육에 기대하는 바를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를 확인하여 알려줄 의무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나 교육청 수준에서는 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관(교육청·학교) 평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과정 평가 및 기타 장학 및 지원 활동을 수행한다.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이러한 국가나 교육청의 활동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교육 기관(교육청이나 학교) 평가나 교육과정 평가에서 국가 교육과정에 충실한 교육이 수행되고 있는가의 판단 준거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평가의 기본 틀 설정 및 도구 제작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의 수업 및 평가 활동이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학교 혹은 교사에 따라 왜 차이가 나는가,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인가 등을 살피고 그에 대한 장학 및 교육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판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교육부(1998), 교육비전 2002 : 새 학교문화 창조, 교육부
    이소영(1999),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라남도교육청,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년별 교과별 성취기준 평가기준 개발
    정범모·이성진(1995), 학업 성취의 요인, 서울 : 교육출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평가기준 - 초등학교 5학년, 교육인적자원부
    황정규(1998),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