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1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1
 2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2
 3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3
 4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4
 5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조선의 국가 형성
(1) 고조선의 건국 신화

1) 삼국유사 : 일연
2) 제왕운기 : 이승휴

(2)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1) 대동강 중심설

2) 요동 중심설

3) 중심지 이동설

2. 고조선의 변천

(1) 고조선 사회의 국가적 성장
(2) 위만조선의 성립
(3) 위만조선의 발전

3. 고조선의 문화와 사회

(1) 고조선의 경제
1) 조공무역

2) 명도전

(2) 고조선의 사회 성격

* 고조선의 범금8조에 나타난 후기 고조선의 사회상


본문내용

(2)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1) 대동강 중심설
- 󰡔삼국유사󰡕에서 일연은 단군왕검이 평양에서 도읍하여 조선을 건국했다는 󰡔고기󰡕의 기록을 인용하면서 평양성은 지금의 서경이라는 주석을 달고 있다. 이 점은 일연이 고조선의 중심을 한반도 안으로 인식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시대에 와서 보다 명확해진다. 예컨대 정약용과 한치윤등 조선후기 사학자들도 고조선의 중심을 압록강 이북에 비정한 󰡔요사󰡕를 비판하면서 고조선의 중심이 한반도에 있었음을 고증하였고 따라서 패수를 압록강으로 보았다.

2) 요동 중심설
- 󰡔응세시주󰡕의 저자 권람은 낙랑을 평양이 아닌 압록강 북쪽으로, 기자가 건국한 지역을 요동, 요서로 비정하는 요동중심설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고조선의 중심지가 요동에 있었다는 요동중심설은 1960년대 이후 북한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북한학계에서 공식적 견해로 자리잡은 요동중심설은 실학자들(성호 이익, 박지원, 이규경)의 연구성과와 이를 계승한 민족주의 사학자로 지칭되는 신채호와 정인보 등의 견해를 계승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고조선 중심과 한사군의 위치가 한반도 밖에 있었다는 견해로 요약된다.

3) 중심지 이동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