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

 1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
 2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2
 3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3
 4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4
 5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5
 6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6
 7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7
 8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8
 9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9
 10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0
 11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1
 12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2
 13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3
 14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4
 15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5
 16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6
 17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7
 18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8
 19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19
 20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국문학] 학술답사-화순의 민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채록환경

1.2 채록방법

2. 본론

2.1 전남민요와 화순민요 선조사

2.2 채록 전사와 그 비교

3. 결론




본문내용
2.1.2 화순 민요의 특징
표현상 특징으로 볼 때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화순 지방 민요에는 노동요와 비기능요 민요는 기능에 따라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비기능요로 나뉜다. 노동요는 노동을 하면서 흥을 돋우고 동작을 맞출 때 쓰고, 의식요는 상례·조례 등의 의식을 거행할 때, 유희요는 강강수월래 등의 놀이를 하면서 동작을 맞출 때 쓴다. 비기능요는 위의 세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흥을 위해서만 사용하는 민요를 말한다.
가 가장 많다. 노동요가 많은 것은 전남 지방의 여성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된 노동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비기능요가 많은 것은 이전에는 기능요(노동요, 의식요, 유희요)였던 것들이 시간이 감에 따라 마을단위로 의식을 거행하거나 놀이를 하는 일이 없어지면서 점차 비기능요로 바뀌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하나의 특징은 잡가류에 속하는 노래나 판소리가 창자가 아닌 일반 민중들에 의해 자유롭게 불려 민요화 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지역 주민들의 음악적 자질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물이 대상이 된 민요가 많다는 점도 화순 지방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화순 지역의 민요에는 다른 지역에는 소재로 한 바가 없는 두꺼비, 쥐, 닭, 소 등의 동물을 재치 있게 표현한 민요가 많다. 특히 와 는 동물의 입장에서 인간의 의리 없음을 고발한 노래이다. 그런데 이 노래가 민중의 삶을 비추는 노래가 되기도 한다. 즉, 동물의 입장에서 당하는 불합리함이 곧 민중들이 당하는 고통과 수탈을 표현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한편 화순 민요는 감정을 매우 직설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적 특징을 가지기도 한다.
내용상으로 화순의 민요를 살펴볼 때 화순 지방의 민요에는 남녀 간의 감정, 삶의 고난, 유한자적의 삶, 인생무상, 시대의식 등의 주제가 많이 담겨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능 상 어떻게 분류되든 간에 민중들의 삶의 역경 속에서 생긴 한과 원망, 체념이 드러나 있다. 다른 지역의 민요에는 한을 극복하려는 의지라든가 앞으로 좀 더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담겨 있지만 화순 지방 민요의 경우 한을 담은 채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민요를 향유하는 층은 일반적으로 여성이므로 여인들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표출된 노래들이 많다. 여인들은 성 억압을 자족적인 노래를 통해 폭로해 왔다. 남녀 간의 애정을 담은 민요에서는 특히 감정 변화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그리움, 야속함, 원망 등의 감정이 한 민요에 담겨있는 것이다. 또한 화순 지방은 여성의 노동력이 중요한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집살이에 대한 애환이 담겨있는 작품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가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것을 보면, 여인들이 고된 시집살이는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화순 지역의 는 다른 지역의 그것과 다르게 며느리가 자결을 하는 등의 극단적인 내용을 담기도 하고 시댁 식구들에 대한 강한 원망을 담기도 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혹독한 시집살이를 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반면 일반 서민들
참고문헌


나승만·고혜경(1995), 『노래를 지키는 사람들 : 남도민요기행』, 서울 : 문예공론사.

이은미(2009), 전남지역 들노래의 소리문화권별 존재양상과 전승방안 = Status of the field songs of Jeonman Categorized by sound culture Area and Plans for Transmission,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개인블로그, "전남 민요의 미학적 특징", http://angeldean.blog.me/150093672681

내고장 화순, http://www.hwasun.go.kr/hwasundb/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