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

 1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1
 2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2
 3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3
 4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4
 5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5
 6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6
 7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7
 8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8
 9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9
 10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10
 11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11
 12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성격, 교육과정의 변천,구성,원리, 교육과정과 교사,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교육과정의 의미

Ⅲ. 교육과정의 성격

Ⅳ. 교육과정의 변천
1. 교과중심의 교육과정
2. 경험중심의 교육과정
3. 학문중심의 교육과정

Ⅴ. 교육과정의 구성
1. 교육목표의 설정
1) 교육목표의 분류
2) 교육목표의 자원
3) 교육목표의 설정과 진술
2.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1) 교육내용의 의미
2)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Ⅵ. 교육과정의 원리
1. 교육과정 내용의 조직 원리
2. 교육과정 내용 선정의 원리
3.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Ⅶ. 교육과정과 교사

Ⅷ. 교육과정의 교사와 학생

Ⅸ. 향후 교육과정의 과제
1. 학교장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부족
2. 획일적인 교수․학습으로 학생의 개성과 적성이 무시됨
3. 특별 활동이 소홀히 다루어짐
4. 학교 만들기에 치중하고 인간 만들기에 소홀히 함
5. 교육 평가 방법 개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역사적으로 볼 때 교과의 의미에 관한 견해로서 가장 널리, 명시적으로 또는 암암리에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진 이론은 「형식도야 이론」(形式陶冶理論)이다. 형식도야 이론은 교과의 의미를 「마음」의 발달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교육이라는 것이 교과를 통하여 마음에 영향을 주려는 행위로 생각되는 한, 그 이론이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진 것도 별로 기이한 일이 아니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형식도야 이론은 누군가에 의하여 적극적인 형태로 제시된 일이 없으며, 「형식도야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이론이 있다는 것을 세상에 알린 사람들은 그것이 교과에 관한 이론으로서 그릇되다는 것을 주장한 사람들이었다. 형식도야 이론은 그야말로 「오직 죽임을 당하기 위하여 세상에 태어났다가 일단 죽은 뒤에도 다시 꿈틀꿈틀 되살아나는 한 마리 무정형(無定型)의 동물」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형식도야 이론은 마음을 개인의 내부 어디인가에, 비록 도야되지 않은 형태로나마, 들어 있는 기성의 「부소능력」(部所能力)으로 간주하였다. 이 이론에 의하면, 교과는 그것에 담겨 있는 「형식」을 통하여 이러한 부소능력을 단련하는 수단이며, 교과를 통하여 단련된 부소능력은 생활의 문제를 유능하게 처리해 나가는 데에 도움이 된다. 형식도야 이론에 대한 비판은 궁극적으로 그것에 가정된 마음의 개념을 겨냥한 것이다. 예컨대 형식도야 이론의 열렬한 비판자인 존 듀이에 의하면 마음은 개인의 내부에 기성의 형태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황에서의 유목적적 활동(즉, 문제해결 활동)을 통하여 획득된다(Dewey, 1919, 번역판, pp.98 ff). 교과의 의미에 관한 한, 듀이와 거의 정반대되는 견해를 나타내는 허스트 역시 형식도야 이론에 가정된 마음의 개념을 비판하는 점에 있어서는 듀이와 견해를 같이한다.
참고문헌
․ 김두루한(2000), 21세기 교육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 21세기 학교 교육발전 방향 모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유봉호(1997), 현대교육과정, 서울 : 교학연구사
․ 홍후조(2000),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인천교육연수원 교감직무연수 교재
․ 함수곤(1997),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지도, 충북 : 한국교원대학교
․ 함수곤(2003),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8),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연구 개발의 발전방향, 창립기념 세미나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