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

 1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1
 2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2
 3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3
 4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4
 5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5
 6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6
 7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7
 8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8
 9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9
 10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10
 11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11
 12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12
 13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와 이상적인 승려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I. 서설
II. 삼국유사 불교설화를 연구한 두 개의 논문 비교
1. 삼국유사 불교설화와 숭고하고 비속한 삶 -조동일-
2. 한국의 이상적인 승려상 (『三國遺事』소재 불교설화를 중심으로) -설중환-
3. 두 논문의 비교 - 원효의 파계와 관련하여
III. 삼국유사는 어떤 책인가?
1. 문학적 상상력과 영감의 원천 삼국유사
2. 삼국유사의 시가로서의 문학적 의의
3. 삼국유사의 설화문학으로서의 문학적 의의
IV. 일연 스님은 어떤 사람인가?
1. 고승이자 불교학자인 일연스님
2. 저술가이자 시인, 일연스님
3. 일연스님은 왜 ‘삼국유사’를 썼는가?
V. 우리의 해석
1. 일연의 의도
2. 도는 어디에 있는가?
3. 깨달음에 이르는 길
4. 원효의 파계에 대한 생각
VI. 박물화 방향 제시
1. 목표
2. 대상
3. 구체적인 방법

본문내용
3. 두 논문의 비교 - 원효의 파계와 관련하여
삼국유사 불교설화와 숭고하고 비속한 삶(이하①)과 한국의 이상적인 승려상(이하②)에서는 모두 원효의 파계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승려가 지켜야할 계율을 어기는 것을 파계라고 하는데, 원칙적으로는 이는 고승으로 가는 길을 막는 행위이다. 황진이에게 넘어간 지족선사가 그런 경우이다. 그러나 두 논문에서는 원효의 파계를 긍정적으로 본다.
①에서는 원래 숭고한 승려였던 원효가 파계를 함으로써 구름위에 존재하던 고고한 존재에서 비속한 땅으로 내려와 자기를 낮추며, 광대처럼 꾸미고 춤과 노래를 불러 무지몽매한 백성들을 교화하여 부처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원효는 파계를 함으로써 완전한 불법을 깨달았다. 즉 원효에게 파계는 불법으로 가는 통로였던 것이다.
②에서 원효는 파계를 함으로써 ①과 마찬가지로 지상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리하여 이미 일신강충과 성통광명을 이루었던 원효는 재세이화와 홍익인간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그러나 자장은 그런 기회가 없었다.
이러한 두 면을 비교해 봤을 때, ①과 ② 모두에서 원효의 파계는 원효의 불법으로 가는 중요한 통로로 기능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원효의 파계는 일반적으로 지니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원칙적인 의미와 다른 기능을 한다.

III. 삼국유사는 어떤 책인가?
1. 문학적 상상력과 영감의 원천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대의 신이(新異)로 풀어낸 사서이다. 유사(遺事)라는 것은 정사(正史)에 기록되지 않거나 빠진 일들을 일컫는 것이다. 삼국유사는 제왕과 고승의 일생과 일화를 문학적 상징이 가득한 설화로 되살려 놓았다. 삼국유사의 문학적 가치는 바로 이 부분에서 시작된다. 삼국유사를 편찬한 일연은 인간의 삶에 대한 통찰과 선사로 살았던 일생을 말년의 저술에 쏟아 부었다. 우리의 역사를 풍부한 이야기로 재현하여, 이 땅이 인연 깊은 불국토임을 알리고, 나아가 널리 불법을 펴고자 하는 홍법(弘法)의 정신을 구현한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에 담긴 숱한 설화는 역사이면서 허구적 흥미를 갖춘 상상의 작품 세계이고, 세속의 일을 다루면서도 초자연적인 믿음의 끈을 놓지 않았던 구도의 기록이며, 역사 속에서 명멸해간 숱한 개인의 삶의 궤적인 동시에, 이를 뛰어넘는 인간 일상의 생활 보편사
참고문헌
※ 참고자료 ※
박성규 역 출판사 - 서정시학
삼국유사 불교설화와 숭고하고 비속한 삶 - 조동일 -
한국의 이상적인 승려상 (『三國遺事』소재 불교설화를 중심으로) - 설중환 -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문학적 가치 해명 - 최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