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

 1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
 2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2
 3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3
 4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4
 5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5
 6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6
 7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7
 8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8
 9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9
 10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0
 11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1
 12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2
 13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3
 14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4
 15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5
 16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 현대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인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대학교육의 인재상에 대한 역사적 개관
1) 근대 대학의 이념
- 훔볼트 대학을 중심으로
2) 근대 교육의 인재상의 대립
- 18C말~19C초 계몽주의와 신인문주의의 대립을 중심으로
3) 현대 대학 교육의 인재상
(1) 신자유주의 물결
(2) 멕시코의 신자유주의 개혁
(3) 우리나라 대학 교육의 양상
2. 바람직한 대학교육의 인재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8세기 중엽 이래 유럽을 휩쓴 계몽주의는 인간 이성의 ‘보편성’을 신봉하였고 교육을 통한 인간해방을 전파하였다. 이 시대의 교육은 자유와 이성에 대한 신뢰를 중요시하고 인간 이성의 힘으로써 전통사상, 권위, 교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합리적인 사상이 그 특징이다. 이러한 교육은 이성의 자유를 속박하는 종교·정치·사회 등의 모든 권력구조를 제거하고,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모든 인간적·신학적 문제와 사물을 자신의 이성의 힘으로 따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교육의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계몽주의 교육은 당시에 존재했던 봉건적 속박과 비합리적 관행을 제거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하지만 세상에 존재했던 많은 이념들이 그러했듯 계몽주의 역시 기존의 의도와는 다른 결과를 초래했다.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조직과 급속히 발전하는 자본주의 경제발전 상황은 ‘합리성’과 ‘보편이성’을 추구하던 계몽주의의 이상과는 다르게 인간 주체를 사회적 재생산 기제에 편입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Kant가 지적한 계몽주의적 이성의 이율배반은 이러한 계몽주의의 부작용을 짚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계몽주의가 주창했던 ‘보편적’이성이 일방적으로 개별인간을 추상화함으로써 오히려 인간주체를 사회적(혹은 국가적) 조직에서의 유용성과 기능성에 맞추어 개별화 ․ 파편화시키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그리고 계몽주의 교육의 이러한 부작용이 노정되는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신인문주의적 반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논문, p.48~52

독일의 교육학자 Niethammer는 19세기 초엽에 『현시대의 교육-수업이론에서 박애주의와 인문주의 사이의 논쟁』 박애주의는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북부 독일의 진보적 지식인들에 의한 교육실천의 사상적 기반을 가리킨다. 따라서 박애주의는 全유럽적인 사조였던 계몽주의의 독일적 변형이었던 셈이다.(위의 논문, p.55)
(1808)이라는 교육 논쟁서를 발표한다. 그는 이 글을 통하여 당시 계몽주의적 교육이 야기하는 부작용을 비판하였다. 특히 그는 당시 학교 교육이 자연적인 정신발달을 훼손하기 때문에 어떠한 이성도야도 가능하지 않다는 점, 인간의 정신적 소질을 계발하는데 외적인 강제가 너무 심하며 당시의 공교육 및 의무교육이 인간을 너무 이르게 파편화시킨다는 점 등을 언급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적 폐단에 대해 인문주의적 이상에 기초한 인간의 개성 존중을 역설한다. 이 입장은 당시 계몽주의 교육에서 보였던 합리주의적, 공리주의적 관점과는 철저하게 대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신인문주의적 교육이념이 계몽주의 교육에서 노정된 문제에 대한 확실한 대안을 제시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앞서 언급했던 Niethammer가 제시한 신인문주의적 교육이념의 경우 계몽주의의 문제점을 분명하게 제시했지만 이는 이념적으로 단지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