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파생법

 1  중세국어 파생법-1
 2  중세국어 파생법-2
 3  중세국어 파생법-3
 4  중세국어 파생법-4
 5  중세국어 파생법-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국어 파생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파생법
1. 접두 파생법
2. 접미파생법
가. 명사(체언) 파생법
나. 동사파생법
다. 형용사 파생법
라. 부사파생법
마. 조사 파생법

Ⅲ. 결론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단어는 그 구성이 단일한 것이 있는가 하면 복합적인 것도 있다. 중세 국어도 현대국어와 같이 한 단어가 단일한 어근으로 성립되는 것이 있고 어근에 접사가 붙거나 합쳐서 복합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1) 가. 불무, 검다
나. 불무질, 검듸영
다. 불뭇골, 검븕다
(1가)의 단어들은 단일어이다. ‘검다’는 ‘검-’과 ‘-다’의 두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지마는 어간 형태소에 국한하면 역시 구성이 단일하다. (1나, 다)는 복합어이다. (1나)는 어근에 접사가 붙어 성립된 파생어이다. (1나)에서 ‘불무질’은 명사어근 ‘불무’에 접미사 ‘-질’이 붙었으며 ‘검듸영’은 형용사 어근 ‘검-’에 접미사 ‘-듸영’이 붙었다. (1다)는 합성어이다. ‘불뭇골’은 ‘골풀무’라는 뜻인데 ‘불무’와 ‘골’의 합성어이다. ‘검븕다’는 두 개의 형용사 어근의 합성이다.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파생어를 만드는 절차를 이라고 하고 어근이 어울려서 합성어를 형성하는 절차를 이라고 한다. 중세국어도 현대국어와 같이 파생법과 합성법에 의하여 단어가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중세국어 조어법 중 파생어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성일(1972), 「중세국어 조어론 연구」, 『동아논총』9.
高永根(1989),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영근(1997), 『개정판 표준중세국어 문법론』, 집문당.
김영선(1989), 「우리말의 접사 체계」, 『언어와 언어교육』, 동아대학교어학연구소.
김창섭(1995), 「국어 파생접사와 파생어의 사전적 기술」,『애산학보』, 애산학회.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 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송철의(1992), 「국어의 파생어 형성 연구」, 『국어학총서』18, (국어학회), 태학사.
安秉禧(1978), 「十五世紀 國語의 活用語幹에 대한 形態論的 硏究」『國語學硏究選書2』, 塔出版社.
劉昌惇(1971), 『語彙史硏究』, 宣明文化史.
하치근(1987), 「국어 파생형태론 연구」, 『언어와 언어교육』, 동아대학교어학연구소.
허 웅(1975),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하고 싶은 말
중세국어 파생법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