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

 1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1
 2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2
 3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3
 4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4
 5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5
 6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6
 7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7
 8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8
 9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염상섭의 `삼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작가 소개
2.줄거리
3.등장인물의 성격
본론
1. 1920년대 세계의 시대적 배경
2.1920년대 우리나라의 상황
3. 삼대에서 '부르주아' 와 '프로레타리아'
결론
본문내용
2.줄거리

대지주인 조부 조의관은 양반 행세를 하기 위해 족보를 사들일 정도로 명분과 형식에 얽매인 구세대의 전형이고, 아버지 상훈은 신문물을 받아 들였으나, 이중 생활에 빠지고 재산을 탕진하는 과도기적 인간형이다. 조상훈의 아들 덕기는 선량한 인간성의 소유자이나, 조부와 아버지의 부조리 속에서 재산을 지켜 나가는 일에 한정되어 적극성을 잃은 우유부단한 인간형으로 그려진다. 덕기의 조부 조의관은 고루한 봉건 의식의 소유자이다. 어렵사리 모은 거액의 재산으로 집안의 크고 작은 제사를 받들고, 가문의 명예를 키워 나가는 것을 가장 큰 일로 삼는다. 칠순 노인이면서 부인과 사별 후 서른을 갓 넘긴 수원댁을 후취로 들여 네 살박이 딸까지 두고 있다. 조의관이 가장 못마땅하게 여기는 사람은 바로 아들 조상훈이다. 맏아들이면서도 집안 일은 안중에 없고 오로지 교회 사업에 골몰해 집안의 돈을 바깥으로 빼돌리는 데만 혈안이 된 것으로 여기는 것이다. 더구나 조의관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봉제사를 기독교 교리에 어긋나는 우상 숭배라고 반대하고 전혀 돌보지 않는 것이다.
그는 아들보다도 손자인 덕기에서 더 큰 믿음을 가진다. 집안의 모든 일도 손자인 덕기와 의논해서 결정하고, 자신이 죽고 난 후 재산 관리도 덕기에게 일임하리라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