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

 1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
 2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2
 3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3
 4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4
 5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5
 6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6
 7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7
 8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8
 9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9
 10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0
 11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1
 12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2
 13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3
 14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4
 15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5
 16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6
 17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7
 18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8
 19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19
 20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화주의로 인한 중국 민주화의 지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화주의의 이론적 검토
Ⅲ.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Ⅳ. 중국 민주화 지체의 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2. 공산당 집권 이후의 중화주의
(1) 민족주의에서 맑스-레닌주의로의 이행
1911년 신해혁명을 계기로 동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이 청을 대신하게 된다. 중국 대륙에 있어 통일적인 강력한 국가 형성은 최대의 과제였다. 서태후(西太后)는 근대적 개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했으나 약화된 중앙 권력과 독자적으로 사무를 처리하는 지방 관리들에 의해 실행되지 못했고 입헌 군주제를 도입하고자 했으나 한족 중심의 반만주 운동에 의해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쑨원(孫文)등의 혁명파는 한족이 중심이 되고 인민 주권을 내용으로 하는 혁명을 시도하고 중화민국을 건립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혁명을 수행해온 지방 세력들에 의해 강력한 중앙 집권적 체제를 설립하지 못하고 이후 구체제의 실력자였던 위안스카이(遠世凱)가 서양 열강의 지원에 힘입어 대 총통의 자리에 오르게 되고 군주제를 부활 하려는 위안스카이와 이에 반대하는 세력에 의해 중국은 다시 군벌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이러한 와중에 러시아에서는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게 되는데 중국의 정치세력은 이러한 봉건 잔재를 일소하고 일체의 외세로부터 인민들을 지켜낸 것처럼 보인 이 러시아의 혁명에 관심을 갖게 되어 쑨원의 중국 혁명당은 중국 국민당으로 명칭을 바꾸고 맑스 레닌주의를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사상에 영향을 받아 중국 공산당이 1921년 중국 상해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결국 이념을 달리한 양 집단 간의 내전이 발생하고 1948년 중국 공산당이 중국 대륙의 중심에 오르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설립을 선포하게 되고 본격적으로 맑스 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 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중화 민족주의가 맑스 레닌주의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았다. 오히려 중화 민족주의라는 중국 특유의 토양 위에 맑스 레닌주의가 도입 되면서 마오쩌둥사상(Maoism)이라는 중국 특유의 사회주의 사상을 제공하게 되었다. 공산당에 의해 대륙적 통일을 달성하였으나 이는 인민주권의 도래를 의미하지 않았으며 공산당을 지탱해준 것은 조직과 이데올로기뿐이었다.

(2) 공산당 초기의 중화주의의 역할
아편전쟁 이후 유럽 열강의 중국 침탈은 구체화되기 시작했고, 전통적 중화주의의 한 가운데서 세계질서의 중심에 있었던 중국인의 자존심은 크게 상실 되었다. 중국인들은 이후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성학. 2006. 『용과 사무라이의 결투』. 서울 : 리북.
김하룡․장현표. 2000. 『신중국정치론』. 서울: 나무와 숲.
서진영. 1997. 『현대중국정치론』. 서울 : 나남출판.
신정근. 2006. 『동중서(童仲舒):중화주의의 개막』. 서울 : 태학사.
윤휘탁. 2006. 『NEO-Sinocentrism』. 서울 : 푸른 역사.
이춘식. 1997. 『事大主義』. 서울 : 고려대학교 출판부.
Dreyer, June Teufel. 1976. 『China's forty millions : minority nationalities and national integrat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Jonathan. D. Spence. 1996. 『God's Chinese son』. New York NY : Norton.
Ronald, Inglehart and Christian, Welzel. 2005. 『민주주의는 어떻게 오는가』. 지은주 역. 파주 : 김영사.
Robert. D. Putnam. 2000.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안청시 외 역. 서울 : 박영사.
Zheng Yongnian. 1996. 『Discovering Chinese Nationalism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毛澤東. 1991. 『矛盾論』. 北京: 人民出版社.
阿部治平. 1984. 『アジアの世界』. 東京 : 大月書店.
魯迅. 1976. 『魯迅書信集』. 北京: 人民文學出版社.
『中國共産黨黨章』. 1992. 第21期.
『中國共産黨章程』. 2004. 北京: 人民出版社.
권성홍. 2010.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 『韓國政治外交史論叢』. 31-2호, 103-134.
김동성. 1997. “중화민족주의”, 『신아세아』. 4-4호, 149-152.
김소중. 2006. “중국 민족주의 역사와 전망”, 『동양정치사상사』 5-1호, 83-115.
김태완. 2010. “중국 국가 정체성의 변화”, 『국제관계연구』. 29호, 163-191.
서대원. 2005. “도교와 중국의 현대화”, 『道敎文化硏究』. 22호, 277-307.
신봉수. 2009. “계급과 민족의 변증법”, 『한국정치학회보』.43-1호, 67-86. p.67-86.
이민자. 2004. “중국의 인터넷 확산과 정보통제”, 『신아세아』. 14-4호, 197-220.
이민자. 2008.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 『신아세아』. 15-10호, 68-94.
이민자. 2009. “밑으로부터의 저항과 중국 특색의 시민사회”, 『중소연구』. 32-4호, 13-43.
이진영. 2004. “개혁 개방과 중화주의의 재 대두”, 『현대중국연구』. 6-2호, 165-191.
이혜경. 2006. “근대 중국의 탈중화주의”, 『오늘의동양사상』. 15호, 71-90.
지은주. 2008.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지역 정체성과 민주주의”, 『신아세아』. 15-3호, 116-143.
지은주. 2010. “인터넷, 정당정치 그리고 사회적자본”, 『평화연구』.19-2호, 113-142.
한석희. 2002. “탈냉전기 중-미관계에 있어서 중국 민족주의의 역할”, 『中蘇硏究』. 26-3호, 117-139.
유경민. 2006. 『중국·북한관계를 통해서 본 중화사상의 현대적 해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A.N.Waldron. 1985. “Theories of nationalism and historical explanation”, World politics. Vol37 No.3.
Hans Morgenthau. 1957. “The paradoxes of nationalism”, Yale Review. Vol46 No.4.
Zheng Yongnian. 1994. “Development and democra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109 No.2.
胡鞍鋼. 1996. “중국의 分稅制, 그 평가와 제안 : 실시후 2년의 성과와 문제점”, 『극동문제』. 214호, 40-52.
胡伟希. 2005. “21世纪中国的民族主义 : 历史基因与发展前景.”, 『동양정치사상사』. 5-1호, 257-269.
대한민국통계청. http://kostat.go.kr. (검색일 : 2011.11.11).
Asianbarometer. http://www.asianbarometer.org. (검색일 : 2011.12.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